[정치] 강은희 여성부장관 후보자 "기업인 출신으로 여성고용문제 고민할 것"

중앙일보

입력

기사 이미지

강은희 여성가족부 장관후보자. [사진 중앙포토]

21일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로 지명된 새누리당 강은희 의원은 “여성 기업인 출신으로서 여성고용 문제를 적극적으로 고민할 것”이라고 말했다. 청와대의 인사 발표 직후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서다. 강 후보자는 이 자리에서 “학교 밖 청소년 문제를 포함해 청소년을 책임지는 부서로서 여성가족부의 역할을 강화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다음은 강 후보자의 소감과 일문일답.

“박근혜 정부가 임기 중반으로 접어들고 있다. 이런 시점에 여성가족부 장관으로 내정되어 막중한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 지금까지 우리 나라는 많은 여성 정책들을 해왔고, 성과를 많이 거두고 있다. 여성가족부는 과거 여성부에서 가족과 청소년이 제도권 안에 들어와서 여성·가족·청소년에 대한 많은 정책을 펼쳐왔고, 실제로도 성과를 거두고 있다.

특히 최근 4대 개혁뿐만 아니라 저출산 문제에도 많은 관심을 가지고 있는데, 여성가족부도 관련 부서로서 책임이 굉장히 크다고 생각하고 있다. 여성 고용 활성화도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여성 기업인 출신으로서 문제를 적극적으로 고민해볼 생각이다. 또 청소년 문제도 학교 안에서 청소년의 문제는 교육부를 중심으로 노력하고 있지만, 학교 밖 청소년과 교육 이외 일반 생활에서 여성가족부가 청소년 책임지는 부서로서 역할을 강화해야한다고 생각하고 있다.

또 한부모가족·다문화가정에 대한 세심한 정책을 살펴 정책이 국민 여러분의 손에 착근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부족하지만 열심히 고민하고 노력해서 국민들이 체감할 수 있는 정책 실현할 수 있도록 노력하겠다.”

-청와대에서 언제 연락받으셨나

“연락은 상당히 오래 전에 받았었는데, 검증 과정을 거쳐야하기 때문에, 한동안 (발표) 시기가 중지가 됐었다. 현안이 산적해서 연기된 것 같다.”

-정권 후반기인데, 앞으로 어떤 식으로 할지 구상은 있나. 또 이것만큼은 꼭 하고 싶다는 게 있다면.

“여성 고용 활성화 부분에 대해 많이 고민해왔다. 경력단절과 고용활성화는저출산 문제와도 계속 연결돼왔다. 독자적으로 하기에는 한계가 있는 부분이 많다. 다른 부처와 효과적으로 연계하는 정책이 필요해보인다. 창의적으로 해야되는 부분, 경력 단절 여성은 고용노동부와, 저출산 극복은 보건복지부와 연관되어 있어서 독자 정책의 한계도 있지만, 반대로 보면 적극적으로 견인할 수 있는 부분도 있다고 본다. 단시간에 극복될 수 없는 부분이기도 하지만 여성 가족 사회가 공동의 책임으로 가져간다는 의미에서 여성가족부가 할 수 있는 일을 하겠다.”

-국회 교육문화위원이기도 하고 여성가족위원이기도 했는데.

“사실 교육의 문제가 여성과 가족 청소년 문제에서 뗄 수 없는 부분이다. 최초에 여성부를 만들 때는 여성 자체의 문제에 집중했는데, 여성과 남성이 뗄 수 없는 관계이고, 여성 정책 개발에서 양성평등법으로도 바뀌었다. 이런 것처럼 우리가 사회를 구성하는데 같이 공존하는 시대이기 때문에 많은 문제 중에 여성가족부가 안고 있는 청소년의 문제가, 교육부에서 하고 있는 학교 정책의 문제가, 청소년의 입장에서 보면 다소 청소년들에겐 교육의 문제가 압박일 수 있는데, 교육은 자기 행복을 추구하는 일이기 때문에 뗄 수 없는 부분이다. 청소년 문제에 굉장히 관심을 많이 가졌다. 학교 밖 청소년이 20만명이 넘는 이 시대에 이들을 어떻게 가정과 학교 안으로 돌릴 수 있는지를 교육위원으로 늘 고민했다. 이걸 잘 접목하는 게 뭘지 부처에 가서 고민하면 효과적으로 할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청문회 통과하면 20대 총선에 출마 못하는데 아쉬운 점은 없나.

“제가 국회가 들어올 때도 준비가 좀 부족한 상황에서 새누리당 비례대표로 입성했다. 그 이후로 빠르게 배우면서 열심히는 했다. 그렇지만 아무리 열심히 해도 한계가 있었고, 시간이 지나면 지날수록 정책을 보는 안목과 현안을 보는 능력이 키워졌지만 뒤돌아보면 늘 부족하다는 생각이 들었다. 충실히 입법하고 정책도 면밀히 살펴볼 수 있는 부분을 되돌려 보면 부족한 부분도 있었다. 그런 아쉬움이 있어서 정부에 들어가선 국회에서 무엇을 요구하는지에 대한 것을 알아서 그 부분을 충족할 수 있도록 노력할 수 있을 것이다.”

-비례대표 승계는 어떻게 되나.

“정확히는 못 살펴봤지만 자동승계가 되는걸로 알고 있다.”

정종문 기자 person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