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재용, 엔지니어링 유상 증자에 ‘사재 투입’ 카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3면

기사 이미지

상장 폐지 위기에 내몰린 계열사를 되살리기 위해 오너인 이재용(47) 삼성전자 부회장이 특단의 사재 투입 카드를 꺼내들었다. 삼성엔지니어링의 재무구조 개선을 위해 추진하는 1조2000억원 규모의 유상 증자가 차질 없이 진행될 수 있도록 실권이 생길 경우 이 부회장이 최대 3000억원 까지 사재를 투입해 사들이기로 한 것이다.

1조2000억 증자 중 실권 생기면
이 부회장 최대 3000억원 넣기로
상장 폐지 위기서 구출 특단 대책

 삼성엔지니어링은 중동 사업장 등에서 발생한 대규모 손실 여파 탓에 4000억원에 달하는 대규모 자본잠식으로 상장폐지 직전까지 내몰린 상태다. 7일 삼성그룹에 따르면 삼성엔지니어링은 이날 이사회를 열고 1조2000억원 규모의 유상증자 추진을 결의했다. 이를 위해 임시주주총회를 열고 발행 가능 주식수도 기존 6000만주에서 3억 주로 늘려놓았다.

 신주발행 주식 수는 1억5600만주로, 예정 발행가는 할인율(15%) 등을 적용해 주당 7700원으로 정했다. 구주 1주당 신주 배정 주식수는 3.3751657주다. 유상증자는 주주배정 후 기존 주주들이 포기한 실권주를 일반 투자자에 공모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신주 상장 예정일은 내년 3월 2일이다.

 삼성그룹은 이날 “이 부회장은 삼성엔지니어링 유상증자 과정에서 발생한 기존 주주들의 미청약(실권) 주식을 3000억원 한도에서 일반 공모를 통해 사들이기로 했다”고 밝혔다. 한 마디로 기존 주주들이 사들이지 않는 물량이 생기면 그룹 오너인 이 부회장이 직접 나서 이들 주식을 사들이겠다는 얘기다.

 삼성그룹 관계자는 “이 부회장이 실제 배정 받는 주식 규모는 기존 주주의 미청약 물량과 일반 공모 경쟁률 등에 따라 정해질 것”이라며 “극단적으로는 유상증자 물량 전체의 25%를 이 부회장이 사들일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이는 이 부회장 본인이 스스로 결정한 사안”이라며 “그만큼 삼성엔지니어링을 살리겠다는 의지가 강하다고 이해해 달라”고 설명했다.

 삼성엔지니어링은 지난 3분기 실적발표 당시 이미 유상증자 계획을 밝혔다. 최대 주주인 삼성SDI(지분율 13.1%)와 2대 주주인 삼성물산(7.81%)도 여러 차례 유상증자 참여 의지를 내비쳐왔다.

 2000년대 후반까지도 그룹 내에서 ‘황금알을 낳는 거위’로 여겨져온 삼성엔지니어링은 이후 거듭된 악재와 부진한 실적으로‘미운오리 새끼’신세로 전락했다.

  2012년 11조원까지 기록했던 매출은 지난 3분기 8569억원으로 쪼그라들었다. 특히 지난 분기에는 1조5127억원이 대규모 영업손실을 기록했다. 이로 인해 1조334억원에 달하던 자본은 마이너스 3746억원으로, 완전잠식상태다. 삼성엔지니어링이 이런 상황까지 몰리게 된 것은 주로 2011~2012년 무분별하게 저가로 해외 플랜트 사업을 대거 수주한 탓이다. 올 3분기 대규모 적자의 원인 역시 당시 수주했던 사우디아라비아 샤이바 가스와 아랍에미리트연합(UAE) CBDC정유, 사우디 얀부 발전 프로젝트 등이었다. 여기에서만 총 1조원의 손실이 났다. 여기에 저(低) 유가로 인한 발주감소까지 겹쳤다.

 그나마 최근 조금씩 숨통이 트이고 있다. 지난 4일엔 말레이시아 국영석유회사인 페트로나스로부터 RAPID(라피드) 석유화학 프로젝트를 1조원에 수주했다. 시장 여건만 좋다면 올해 안에 1조4000억원 내외의 추가 수주도 기대하고 있다는 게 삼성엔지니어링 측의 설명이다. 장부가 3500억원에 달하는 서울 상일동 사옥 매각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일부에서는 이번 유상증자를 두고 삼성엔지니어링을 삼성물산이나 삼성중공업과 합병을 위한 수순으로 보는 이들도 있다. 실제 삼성그룹은 지난해 9월 삼성엔지니어링과 삼성중공업 간 합병을 추진하다가 과도한 주식매수청구권 부담 탓에 합병을 포기한 바 있다. 하지만 삼성그룹 측은 “현 단계에서는 삼성엔지니어링을 다른 계열사와 합병하는 등의 시나리오까지 고려하기 힘든 형편”이라며 “당장 회사를 살리는 게 목표”라고 전했다.

 유상증자가 성공해도 넘어야 할 산은 여전하다. 저유가 등으로 인한 플랜트 발주가 줄어드는 상황인 만큼 수주 기반이 회복되지 않고서는 근본적인 회생이 어려울 것이란 지적이다.

이수기·김현예 기자 retalia@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