은행들 "부실자산 빨리 털자"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경제 02면

은행권에 부실자산 감축 비상이 걸렸다. 최근 경기 침체로 신용카드와 가계.중소기업 대출 가릴 것 없이 연체가 늘어나면서 금융감독당국이 은행 대출의 부실화를 우려해 은행권에 대한 부실자산 감독 기준을 대폭 강화했기 때문이다.

금융감독원 고위 관계자는 "경기 침체 여파로 은행권의 부실자산이 급증함에 따라 지난주부터 은행별로 공문을 보내 고정 이하의 무수익 여신(NPL) 비율을 연말까지 3% 미만으로 낮추도록 지시했다"고 밝혔다.

금감원은 지난해 말까지는 은행권의 적정 NPL 비율을 5% 미만으로 지도해 왔다. 이에 따라 지난달 말 현재 NPL 비율이 3%를 넘는 국민은행(3.8%) 등 상당수 은행이 부실 대출채권의 대규모 매각 및 상각을 추진하는 등 부실자산 줄이기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금융계에 따르면 국민은행의 5월 말 총연체율(카드부문 포함)은 3.6%로 3월 말(3.39%)보다 0.21%포인트가량 높아졌으며, 우리은행도 3월 말 1.99%에서 5월 말 2.52%로 0.53%포인트 상승하는 등 시중은행들의 연체율이 지속적으로 높아지면서 부실자산도 늘어나고 있다.

국민은행은 카드와 가계대출 연체율이 꺾이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국민카드와의 합병으로 오히려 카드 부실자산이 늘 것으로 보고 하반기 중에 카드 부실자산을 외부에 매각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

하나은행은 6월 반기결산을 앞두고 지난달 말 1조3천억원의 카드.가계대출 연체 등 부실자산을 GE캐피털 컨소시엄과 미래에셋캐피탈 등에 매각했으며 우리은행도 이달 말까지 5천억원 규모의 부실자산을 매각할 예정이다.

조흥은행은 3월 말 NPL 비율이 3.75%로 정부와의 경영개선 이행약정서(MOU)상의 한도(3.9% 이내)를 넘어서진 않았지만 앞으로 부실자산이 더 늘어날 가능성에 대비, 하이닉스 대출금 상각을 포함해 무수익 고정자산을 외부에 처분키로 내부 방침을 정하고 구체적인 작업에 들어갔다.

임봉수.홍병기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