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한마디] “인생의 반은 그대에게 있어요. 나머지도 나의 것은 아니죠.”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시는 고도로 에너지가 충전된 언어에요.
음악과 이미지는 보조 장치이고,
충전의 원동력은 말의 비틀림에 있어요.

앞뒤를 잘 잡고 비틀어야 시가 돼요.
“너나 잘 하세요.”“미안해요, 씨발놈아!”
“인생의 반은 그대에게 있어요.
나머지도 나의 것은 아니죠.”

비틀림이 충격과 감동을 가져와요.
자기 글에 통렬한 비틀림이 있는지 잘 보세요.

시인 이성복(63)의 시론집 『불화하는 말들』(문학과지성사) 중에서.

 

1980년대 시인들에게 큰 영향을 끼쳐 ‘시인들의 시인’으로 통하는 이성복 시인이 최근 펴낸 시론집의 한 구절이다. 출간 간담회에서 시인은 삶과 분리되지 않는 시를 강조했다. 상극인 것들끼리 원융 회통하는 불교적 인식론 같은 것도 펼쳐 보였다. 인용한 시론집의 대목 같은 것들은 자꾸 읽어도 기분이 좋다. ‘인생의 반은∼’ 노래 구절을 흥얼거리게 된다. 시가 대단한 것이 아니라는 것을, 우리 주변에 얼마든지 있다는 것을 이토록 싹싹하고 경쾌하게 설명하기도 쉽지 않을 거다. 부담 없이 들고 다니며 야금야금 읽고 싶은 책이다. 신준봉 기자 inform@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