롯데 해외계열사 자료 네 차례나 제출 안 해 … 공정위, 부실 관리 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경제 06면

공정거래위원회가 올 초부터 네 차례에 걸쳐 롯데그룹에 소유구조 관련 자료를 요구하면서 정작 소유구조의 정점에 있는 해외 계열사 자료는 빠뜨려 부실 관리 논란이 일고 있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신학용 새정치민주연합 의원실에 따르면 공정위는 올해 1월 23일, 4월 2일, 6월 26일, 7월 2일 네 차례 롯데 측에 소유 구조 관련 자료를 제출하라고 요구했다. 그러나 롯데는 이에 응하면서도 해외 계열사 자료는 내지 않았다.

 이후 가족 간 경영권 분쟁이 불거지면서 롯데그룹의 소유구조 정점에 일본 계열사가 있다는 사실이 알려진 뒤에야 공정위는 해외 계열사 소유 실태와 각 계열사의 주주·출자 현황을 내라고 자료를 특정해 롯데 측에 요구했다. 그러자 롯데는 지난 20일 7상자 분량의 해외 계열사 현황 자료를 공정위에 제출했다. 신 의원은 “순환출자 고리를 확인하려면 지분 전체를 들여봐야 하는데 공정위가 외국 법인이라고 자료 요청도 안하고 등한시한 건 잘못”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공정위는 매년 주기적으로 자산 3조5000억원 이상의 기업집단(대기업 그룹) 전체에 국내 계열사 현황을 제출하라고 요청하고 있다고 해명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모두 국내 계열사를 대상으로 하며 해외 계열사는 동일인(기업 총수)이 보유한 회사에 한해 자료를 받고 있다”며 “그동안 롯데는 해외 계열사 소유주는 동일인(신격호 총괄회장) 일가와 무관한 기타 주주라고 신고해왔다”고 말했다.

 그런데 경영권 분쟁 과정에서 광윤사나 L투자회사 같은 일본 계열사의 실소유주가 신 회장 일가인 정황이 드러나 7월 31일 추가 자료 제출을 요구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공정위 관계자는 “롯데가 이전까지 해외 계열사의 소유주를 기타 주주라고 신고하며 관련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는데 이번에 해외 계열사가 동일인(총수가 소유한) 회사로 확인되면 공정거래법 14조 1항, 68조에 의거해 형사 처벌을 받게 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롯데가 이번에 제출한 해외 계열사 현황에도 신동주 전 부회장 자료는 빠져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신 전 부회장 본인이 정보 공개를 원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다. 공정위는 “자료 확인 후 누락된 부분은 추가 요청할 계획”이라고 했다.

세종=조현숙 기자 newear@joong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