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미·중 군사용 드론 경쟁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8면

미국과 중국의 드론(무인기) 경쟁이 본격화하고 있다. 중국은 대규모 드론을 증설하고 마하 10(시속 1만2240㎞) 이상의 극초음속 드론을 개발해 미국의 첨단 드론 기술을 맹추격하고 있다. 미국은 이에 맞서 드론 출격을 대폭 늘리고 스스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드론을 개발해 중국과의 격차를 벌이려 한다.

 월스트리트저널은 18일(현지시간) 미 국방부 고위관계자를 인용, “미군이 2019년까지 드론 운용을 50% 이상 늘린다”고 보도했다. 현재 하루 평균 61회인 출격 횟수를 90회까지 증가시키겠다는 것이다. 미국은 현재 공군과 중앙정보국(CIA)이 가진 드론 운용 권한을 육군과 특수작전사령부·군사용역업체까지 확대할 방침이다. 이 경우 분쟁 지역인 크림반도·중동·동중국해 등에서 정찰 위주로 운용하는 드론의 공습 역량이 크게 강화될 수 있다.

 미국의 드론 활용 확대는 중국의 움직임과 맞물려 있다. 미 국방부는 지난 5월 연례 보고서에서 중국이 2014∼2023년 105억 달러(약 12조4200억원)를 투자해 4만1800여대의 ‘드론 부대’를 창설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올해 한국 국방 예산(37조4560억원)의 3분의 1에 달하는 금액이다. 미 국방부는 보고서에서 “중국이 무인기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래에 미국의 무인기 능력을 넘어설 가능성이 있다”고 우려했다.

 국제 민간조사기관 벨링캣은 지난달 위성사진 분석을 통해 저장(浙江)성 저우산(舟山)시 다이산(岱山)섬에 무인기 전용 비행장이 신설된 것으로 추정했다. 중국이 고고도 무인기 하얼빈 BZK-005 등을 실전 배치해 동중국해를 감시중인 것이다. 중국은 2012년 1만4500㎞의 동중국해 해안을 따라 11개의 무인기 전용 기지를 건설하겠다고 발표한 바 있다.

 중국은 극초음속 드론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미국이 2013년 마하 5.1로 날 수 있는 ‘X-51 웨이브라이더’ 시험 비행에 자극 받은 것이다. 미 국방부 국방고등연구계획국(DARPA)은 2023년까지 X-51 개발을 마치겠다고 발표했다.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에 따르면 중국은 지난해부터 올 6월까지 4차례 최대 속도 마하 10.1의 극초음속 무인기 WU-14를 시험 발사했다. 미국 X-51 웨이브라이더의 2배 속도다. WU-14는 극초음속 미사일로도 전용될 수 있어 미국의 미사일방어(MD)망을 무력화시킬 수 있다.

 미국은 인공지능을 탑재해 스스로 작전을 수행할 수 있는 차세대 드론 X-47-B를 2019년 실전 배치할 계획이다. 미국은 현재 스텔스·수직이착륙 등 최첨단 기술이 집적된 드론 7000여 대(미 입법운동단체 FCNL 추산)를 운용하며 기술력에서 중국에 앞서 있다. 무인 정찰·공격기 MQ-1 프레데터와 대형 무인공격기 MQ-9 리퍼 등을 운용하고 있다. 고고도 스텔스 정찰기인 글로벌호크도 실전 활용한다. 이미 항모용 드론을 배치해 전 세계를 감시·타격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했고 무인기 편대 운용 및 유·무인 합동 편대 운용 전술을 개발하고 있다.

이에 대해 중국은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아래 다양한 드론을 개발·배치하고 있다. 중국은 차이홍(彩虹)-3와 고고도 정찰기 하얼빈 BZK-005 를 실전 운용 중이고 올해 공격용 드론 이룽(翼龍)의 시험 비행을 마치고 베트남 접경 등에 배치할 방침이다. 이룽의 가격은 100만 달러(12억원) 수준으로 MQ-1 프레데터(450만 달러)의 4분의 1 수준이다. MQ-1 프레데터를 닮은 차이홍-4도 곧 실전 배치한다. 고고도 무인정찰기 ‘샹룽(翔龍)’과 대형 스텔스 무인공격기 ‘리젠(利劍)’도 개발 중이다. 중국 정부는 기술 유출을 막기 위해 지난 15일부터 일부 무인기 수출을 금지시켰다.

  정원엽 기자 wannab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