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계저축과 외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한국은행이 최근 조사한 도시가계의 저축실태를 보면 전체적으로 가계저축이 꾸준히 증가추세를 유지하고 있으나 여전히 그 절대 수준은 낮고 증가율도 일본·대만에 비해 뒤처지고 있어 저축증대에 계속적인 노력이 있어야 할것 같다.
총체적인 가계저축 규모는 지난 60년대 이후 소폭이나마 꾸준히 늘어나고 있으나 이번 조사에서 나타난것처럼 저축규모는 가구당 3백3만원에 불과하여 일본의 가구당 평균저축규모 1천8백만원 수준에 비해 큰 차이가 난다.
가계저축과 관련된 총량지표등을 함께 비교해보면 우리의 저축현실은 일본·대만에 비해 현저한 차이를 나타낸다. 지난 70∼82년사이의 총저축 증가률은 우리가 연평균 21·7%인데 비해 대만은 31·6%, 일본은 34·6%에 달하고 있어 이들 나라의 고률성장과 경제안정의 실체가 다름 아닌 국민저축의 기반위에 서있음을 짐작할수 있다.
국민저축이 뒷받침하지 않은 경제는 비록 해외저축을 끌어들여 성장은 가능하다해도 외채누적과 그에 따른 경제적 비용과 손실이 심각함은 우리를 포함한 많은 개도국의 개발경험에서 충분히 짐작할수 있다. 경제의 안정적 성장과 높은 국내저축으로 언제나 선망되어온 대만의 경우는 기회있을 때마다 하나의 표본으로 제시되지만 이들의 저축률은 80년대 이후 투자률을 상회함으로써 해외 투자를 가능케 만들고 있다.
82년의 경우 총투자율이 우리와 비슷한 29·6%인데 비해 총저축률이 31·4%에 달해 1·6%의 잉여를 기록하고 있고, 일본의 경우도 총저축률이 32·2%에 달해 0·6%의 잉여를 기록하고 있다.
이감은 견실한 저축의 뒷방침으로 인해 투자도 유지되고 경제의 성장과 안정이 동시에 가능하게 되어 통화가치도 안정세를 보이고 있으며 이는 다시 저축의 증대유인으로 작용하는 호순환을 형성하고 있다.
우리의 경우는 5차계획상 투자와 저축이 거의 접근하는 시기는 오는 86년으로 계획되어 있으나 이것마저 현재의 여러 경제여건으로 미루어 쉽게 이루어질 목표는 아닌것처럼 보인다. 86년의 총투자와 거의 같은 저축률을 달성하려면 11·7%의 기업저축뿐 아니라 가계저축률도 9·3%까지 높아져야 한다.
그러나 이번 한은조사에서 나타났듯이 가계저축의 열의가 최근들어 다소 침체되고 있는 기미가 보이고 있음은 우려할만하다. 이 조사에서 매달 일정액을 우선 저축하는 가구가 6년전의 77%에서 지금은 68%로 낮아진 점이나, 앞으로 물가가 오를것으로 보는 가구가 50%에 가까운 점등은 모두가 가계저축의 침체를 반영하는 자료들이다.
정부로서는 이같은 가계저축의 환경변화를 신중히 고려하여 저축여건을 개선하고 소액저축을 유인하는 금융시장의 개선에 꾸준히 노력할 필요가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