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윤병세 “5년 전처럼 … 한·중·일 정상회의 제주 개최 희망”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1면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2015(제주특별자치도·동아시아재단·국제평화재단·중앙일보 공동주최)’가 20일 제주도 서귀포시 해비치 호텔에서 막을 올렸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이날 환영만찬에서 “올해 한·중·일 3국 정상회의가 2010년처럼 평화와 화해를 상징하는 섬 제주도에서 가장 빠른 편리한 시기에 열리기를 희망한다”고 밝혔다.

1 김태영 전 국방부 장관 2 공로명 전 외무부 장관 3 후쿠다 전 일본 총리 4 클라크 전 캐나다 총리 5 하워드 전 호주 총리 6 유도요노 전 인도네시아 대통령 7 윤병세 외교부 장관 8 슈뢰더 전 독일 총리 9 리샤오린 중국인민대외우호협회장 10 홍석현 중앙일보·JTBC 회장 11 헤이 영국 대사 12 문태영 제주포럼 집행위원장 13 발데스 파나마 대사 14 위라주다 전 인도네시아 외교부 장관 15 송민순 전 외교통상부 장관 16 세이케 게이오대 총장 17 궁커 난카이대 총장 18 유명환 전 외교부 장관 19 유재건 전 의원 20 베르타고놀리 오스트리아 대사 21 롤프 독일 대사 22 강성모 카이스트 총장 23 펀리 뉴질랜드 대사 24 밤 남아공 대사 25 이와타니 3국협력사무국 사무총장 26 김세원 서울대 명예교수 27 박준우 세종재단 이사장 28 스티븐스 전 미 대사 29 이보 드 보어 글로벌녹색성장연구소 사무총장 30 김준 경방 회장 31 김성훈 제주한라대 총장 32 신봉길 외교안보연구소장 33 정해문 전 한-아세안센터 사무총장 34 신각수 전 외교부 차관 35 김상협 카이스트 교수 36 박인국 한국고등교육재단 사무총장 37 오도노휴 아일랜드 대사 38 유현석 국제교류재단 이사장.

[제주 온 전 일본 총리 인터뷰] 후쿠다 “위안부 문제 풀려면 일단 한·일 정상이 만나야”

후쿠다 야스오 전 일본 총리가 20일 중앙일보와 인터뷰하고 있다. [박상문 기자]

“위안부 문제를 풀기 위해서라도 한·일 정상이 만나는 게 ‘이치방’(최우선)이다. 일본의 군사대국화는 내가 아는 한 있을 수 없다.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한국민에게) 오히려 묻고 싶다.” 후쿠다 야스오(福田康夫) 전 일본 총리는 20일 “한·일 관계가 이렇게 (악화)된 데는 양국 지도자의 책임이 매우 크다”며 이같이 말했다. ‘평화와 번영을 위한 제주포럼 2015’ 참석차 방한해 제주 해비치호텔에서 본지와 한 인터뷰에서다.

 -한·일 관계를 복원할 복안은.

 “정말이지 이런 관계가 계속돼선 안 된다. 무엇보다 박근혜 대통령과 아베 신조 총리가 만나야 한다. 위안부 문제도 만나야 풀 수 있는 것 아닌가. 회담의 유일한 전제 조건은 두 정상 모두 양국 관계를 풀자는 마음가짐이 있어야 한다는 거다. 내가 보기엔 두 정상 다 그런 의지가 있다.”

 -한국인들은 반일, 일본인들은 ‘혐한’ 정서가 깊어진 것도 걸림돌인데.

 “두 나라는 민주주의 국가이니 국민 정서도 고려해야 한다. 하지만 지금은 양국 국민이 두 정상이 만나도록 응원해야 할 때다. 양국 간에 (안 좋은) 일들이 이어지면서 서로 불쾌해하고 있지만, 순간순간 지나가는 일일 뿐이다. 이런 일들이 양국의 미래를 결정하도록 두 나라 국민이 방치해선 안 된다.”

 -한국은 위안부 문제의 가시적 성과를 한·일 정상회담의 전제로 여긴다.

 “가시적 성과란 것도 정상끼리 대화해야 나오는 것 아닌가. 위안부 문제를 어떤 수준으로 풀면 가시적 성과라고 부를 수 있는지도 정상끼리 대화할 때 나온다. 두 정상이 만나는 게 이치방(최우선)이다.”

 -독도 문제는 어떻게 해야 하나.

 “그 문제 외에도 한·일은 각각 다른 영토 문제를 안고 있지만, 역시 해결이 안 되고 있지 않나. 그러니 (독도처럼) 어려운 문제는 그것대로 놔두고, 협력할 수 있는 것부터 대화를 나눠야 한다.”

 -아베 총리가 8월 발표할 담화에서 과거사 반성이 어떻게 다뤄질까.

 “표현과 행동, 두 차원으로 볼 수 있다. 일본에선 ‘손짓 발짓’이란 말처럼 담화에 행동이 수반되는 경우도 있다. 총리 본인이 어떤 메시지를 내야 할지 알고 있을 거다. 모든 사람이 납득할 수 있는 담화가 되길 기대한다. 상대(한국)가 어떻게 생각할지에 주안점을 두고 공감할 수 있는 내용이 되기 바란다.”

 -동아시아의 핵심축은 중국과 일본이다. 일본은 중국을 포용해야 하나, 봉쇄해야 하나.

 “(웃으며) 너무 큰 얘기다. 일본이 국익을 지키려면 우선 가까운 나라와 친해져야 한다. 한국이 중요하고, 중국이 중요하고 이어서 아세안과 남아시아가 중요하다. 중·일 관계도 이런 다자적 시야에서 넓게 봐야 한다. 중·일 관계를 생각해도 일본이 가장 친해야 할 상대 다.”

 -일본이 자위권을 확대하면 독도를 점령하려 기습하고, 미국은 일본 편을 들 것이란 우려가 일부 한국 내에 있다.

 “(어이없다는 표정으로 웃으며) 다케시마? 그런 일은 일어날 수 없다.”

 -그러나 일본이 군사대국이 될 것이란 걱정은 많다.

 “내가 아는 한 결코 그렇지 않다. 오히려 왜 군사대국이 될 것으로 보느냐고 (한국에) 묻고 싶다. 우선 자위권 확대 쪽으로 헌법이 바뀐 것도 아니다. 9·11 테러 이후 자위대가 이라크에 파견됐지만 민생 복구 등 평화적 활동에 임무가 국한됐다. 앞으로도 그럴 것이다.”

◆ 특별취재팀=강찬호·유지혜·정원엽, JTBC 정진우, 중앙데일리 김사라, 이코노미스트 허정연 기자 stoncold@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