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노트북을 열며

싫어하는 세 가지에 갇힌 검찰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김승현 기자 중앙일보 사회 디렉터
김승현
JTBC 정치부 차장대우

“리스트로 시작한 수사가 성공합디까.”

 수년 전, 특수 수사로 날리던 검찰 간부에게서 들은 말이다. ‘○○○리스트’가 언론에 폭로되면 수사 검사는 한마디로 죽어난다고 한다. 리스트에 등장한 이름은 다수 국민에겐 이미 죄인이다. 하지만 검찰은 할 일이 태산이다. 기초적인 사실관계부터 대가성 등 범죄 구성 요건까지 탄탄한 입증 체계를 만들어야 한다. 제아무리 일 잘하는 ‘칼잽이’라도 힘든 건 힘든 거다. 그러나 누가 기다려주는가. 언론은 시쳇말로 의혹을 ‘막 던지고’, 국민은 검찰의 해명 논리를 부정한다. 기껏 의혹 몇 개를 규명해 봤자 "왜 다른 건 못 밝히느냐”는 비판이 돌아오기 일쑤다. 노련한 특수통의 엄살일 수도 있지만, 어쨌든 검사는 언론에 등장한 리스트에 포비아가 있다.

 또 하나, 특별검사라는 말에도 검사들은 경기를 일으킨다. 정치적으로 민감한 대형 사건일수록 멋지게 일 좀 해보려고 하면 야당은 특검을 거론한다. 수사 의지까지 의심하면서. 정치권은 특검을 ‘막 던지고’, 국민은 검찰의 능력을 부정한다. 특검이 도입되더라도 정작 중요한 일은 파견 검사가 거의 해결하는데도 검찰은 설 자리가 없다. 자존심 짓밟힌 검사들이 특검을 좋아할 리 없다.

 검찰이 싫어하는 세 번째는 특별사면이다. 검사들은 공식 언급을 꺼린다. 임명권자(대통령)의 법적 권한이기 때문이다. 대신 머릿속엔 모순(矛盾)이라는 단어가 떠오른다. 밤잠 포기하며 잡아들인 범죄자가 풀려나는 장면에 찍소리도 못하는 현실 때문이다. 검찰권이라는 막중한 책무를 준 임명권자가 특사를 ‘막 던진다’. 법률가로서의 정의감과 양심이 법에 의해 무너지는 순간, 검사들은 그 존재 자체를 부정당한다. 특사 앞에서 할 말을 잃게 되는 검사들의 애환이다.

 최근 정치권과 법조계를 뒤흔든 성완종 리스트 파문에는 공교롭게도 검사들이 싫어하는 세 가지가 다 모였다. 리스트에 대한 국민적 의혹은 커져만 가고, 야당은 물론 여당까지 특검을 외친다. 성 전 회장에 대한 특별사면은 두 정권에 걸쳐 논란이다.

 난국을 헤쳐나가야 하는 검사들에게 딱한 감정을 느낀다. 통과하기 어려운 어둡고 좁은 터널처럼 보여서다. 무능한 검찰이라는 오명을 쓰지 않고, 정치 검찰이라는 비판을 받지 않고 헤쳐나갈 수 있을까. 힘겹게 내놓을 수사 결과는 특별사면으로 사라져 버리지 않고 정치 개혁의 밑거름이 될 것인가.

 “좌고우면(左顧右眄)하지 않겠다”는 문무일 수사팀장의 말 외에는 해법을 찾기 어려워 보인다. 수사팀의 다짐이 흔들리지 않기만을 기대해 본다. 야당의 참패로 끝난 4·29 재·보선 결과를 돌아보거나, 정치 개혁을 언급한 대통령을 곁눈질하지 않기를 희망한다. 생채기가 나더라도 터널 끝 한줄기 빛만 보고 막 달려보길 바란다. 그 빛 너머에 국민의 신뢰가 있다.

김승현 JTBC 정치부 차장대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