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스타리카, 북괴와 단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1면

중미의 영세중립국 코스타리카정부는 북한의 야만적인 랭군테러행위에 대한 응징으로 북한과 외교관계를 단절했다고 외무부가 7일 밝혔다. <해설 3면>「몽헤」코스타리카 대통령은 7일 상오1시 (한국시간) 이영호대통령특사(체육부장관)를 접견한 자리에서 코스타리카정부는 11월23일 각의의 결의로 북한과 단교를 결정했으며 지난2일「아라우즈」제2부통령경 겸 의무장관이 기자회견을 통해 이 같은 결정을 밝힌바 있다고 말하고 북한의 버마참사 만행은 국제적으로 응징을 받아야할 것이라고 강조한 것으로 주코스타리카 대사관이 본부에 보고해왔다.
「몽헤」대통령은 특히 코스타리카정부는 북한과의 모든 관계를 단절하고 앞으로도 하등의 관계를 수립하지 않겠으며 북한을 정상적인 국가로 인정하지 않고 다만 하나의 국제테러양성집단으로 간주한다고 밝혀 코스타리카의 이번 조치가 북한에 대한 정부승인취소의 의미를 내포하고 있음을 시사했다.
「무뇨스」주유엔 코스타리카공사도 7일 새벽(한국시간)국제테러방지책을 논의하는 유엔총회 제6위원회(법률관계위원회)의 발언을 통해 북한의 테러행위를 신랄하게 규탄하면서 코스타리카정부는 이미 북한과 단교했다고 말하고 각국의 실효적인 대북한제재조치를 촉구했다고 주유엔대표부가 본부에 보고 해왔다.
당국자는 코스타리카정부의 이번 단교조치는 버마참사이후 각국이 취한 대북한응징책중 가장 강도가 높은 것이라고 지적하고, 앞으로 우리 정부의 대북한외교제재조치 노력에 동조해 코스타리카정부의 단교조치와 같은 강력한 대북한 응징책을 취할 나라가 몇 개국 더 나올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코스타리카개황>
▲면적 5만1천평방㎞▲인구 2백27만명▲수도 상호세 (인구 80만명) ▲인종백인 96%,흑인 3%, 인디언 1%▲종교 가톨릭 95%▲정부형태 대통령중심제(임기4년) ▲1인당 국민소득 2천2백달러 (81년)▲83년11월17일 영세중립선언

<외무부 환영>
외무부는 7일 코스타리카정부의 조치와 관련한 성명을 발표, 『북한이 버마에서 자행한 테러행위는 국제사회의 평화와 법질서를 파괴한 만행이며 이 같은 파괴행위의 재발을 방지하는데는 이번 코스타리카정부가 취한바와 같은 강력한 국제적 제재를 가하는 것이 가장 유효 적절한 방법』이라고 지적, 코스타리카정부의 조치를 환영했다.

<미국무성 환영>
【워싱턴=장두성특파원】미국은 북한과의 모든 관계를 단절한 코스타리카의『단도직입적인 행동을 환영한다』고 미국무성 대변인이 6일 논평했다.
이 대변인은 『그와 같은 외교적 제재는 평양측에서 그들의 행동이 받아들여 질수 없는 성격의 것이라는 점을 명백히 한다』고 덧붙였다.

<외무부 밝혀>
버마참사와 관련해 각국의 대북한 응징조치는 7일 현재 버마 및 코스타리카가 북한과 단교조치를 취한 것을 비롯 미·일·호주등 40여 개국이 자국의 실정에 맞는 대북한 응징조치를 취한 것으로 알려졌다.
외무부에 따르면△대북한 규탄성명을 낸 나라가 싱가포르·유럽공동체 (EC)외상정책협의회등 22개국 또는 지역공동체 △미일등이 자국외교관의 대북한 외교관 접촉금지 조치등을 했으며△프랑스·필리핀등 7개국이 북한과의 외교관계를 수립하지 않겠다고 재확인하는 등 광범한 대북한 응징이 이루어졌다.
또△북한대사의 접수 및 상주공관설치를 불허할 의사를 밝힌 나라는 태국·서사모아 (이상 대사접수거부) , 베네쉘라· 요르단 (이상 공관설치불허) 등이며▲북한과의 고위인사상호왕래를 취소하거나 거부한 나라는 인도네시아·태국·노르웨이·오스트리아등 7개국인 것으로 알려져 북한외교에 타격을 주고있다.
특히 북한과의 외교관계수립을 선거공약으로 내세웠던「미데랑」대통령의 프랑스사회당정권이 북한과의 외교관계 불수립 의사를 재확인한 것이나 노동당정권집권이후 북한공관의 재개설 가능성이 없지 않았던 호주가 북한과의 관계재개를 불원하는 의사를 공식으로 북한에 통보한 것은 북한이 버마 참사를 일으켜 스스로 고립을 자초한 결과로 평가되고 있다. 당국자는 북한의 대남 테러는 이제 남북한만의 문제로 세계가 인식하고 있지 않다는 것을 방증한 셈이라고 지적, 정부는 코스타리카정부의 대북한단교조치 및 9일 있을 버마 정부의 북한테러범에 대한 선고등을 계기로 각국이 실정에 맞는 대북한 제재조치를 취하도록 가일층 외교적 노력을 기울일 방침이라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