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예진흥사업 민간주도로 전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부당국의 문화예술진흥정책이 관주도의 「사업주관」을 일체 지양하고 민간주도의 문에진흥사업에 대한 「재정지원중심」으로 바뀐다. 한편 국립공연단체의 운영도 민간문화재단이나 재단 등의 문화사업으로 이양, 체육회산하의 각종목별 가맹단체에 대한 재벌의 운영후원제도와 같은 내용의 활성화방안이 신중히 검토되고 있다.
이같은 문예진흥정책의 전환은 1차적으로 한국문예진흥원이 주관해오고 있는 대한민국음악·연극·무용·국악제등의 민간기구 이양이 구체화됨으로써 빠르면 내년부터 실현될 예정이다.
문예진흥원은 최근 대한민국음악제의 주관을 한국방송공사(KBS)에 이관하는 문제를 상호 협의중인것으로 알려졌다.
지금까지 문예진흥원이 주관해온 대한민국음악제의 KBS이관은 행사일체를 KBS가 맡아 주관하고 진흥원은 행사비용만을 지원한다는 것이다.
정부당국은 재정지원만 하고 진흥사업은 민간기구가 맡아 주도하는 문예진흥정책의 전환은 이미 지난해 국립교향악단을 KBS로 옮겨 KBS교향악단을 창립케한데서부터 시도돼왔다.
국립교향악단의 예가 큰성공을 거둠으로써 대폭적인 문예진흥정책의 전환구상이 구체화된 문예진흥원 직접추진의 문화사업이관은 이밖에 연극·무용·국악제등도 신문·방송같은 언론기관이나 민간문화재단의 주관을 바람직한것으로 보고있다.
즉 신문사나 민간문화재단이 희망하기만한다면 연극·무용·국악제 같은 문예진흥사업도 재정적 지원만 해주고 그 운영과 행사주최를 과감히 이양하겠다는 것이다.
이같은 문화사업들은 현재로서는 흑자를 내는 예가 거의 없지만 민간기관이 맡아 활성화시키면 흥행적인 성공도 거둘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까지도 가질수있다는것-.
국립극장 산하의 6개공연단체운영의 활성화방안으로 거론되고있는 민간이양및 재벌후원제는 오래전부터 문화계 일각에서도 논의가 돼왔다.
국립무용·오페라·합창·창극·발레·극단 등은 빈약한 예산때문에 연1∼2회의 발표공연을 갖는게 고작이다. 발표공연외에 해외공연을 나가는 예가 간혹 있긴하지만 선발된 소수단원에 한정될뿐이다.
금년의 경우 이들 6개공연단체의 총공연비는 2억원에 불과했다. 특히 2백50명을 넘는 단원들의 월급수준(평균 월20만원)도 큰 문제가 되고있다.
이들 공연단체의 연공연비는 14억5천만원이라는 인건비의 7분의1도안되는 「빈곤」으로 사실상 예술활동의 실적을 기대하기 어려운 실정이다.
현재 각 단체별 단원수는 ▲무용단=70 ▲오페라단=20 ▲합창단=60 ▲발레단=50 ▲극단=30 ▲창극단=25명.
발표공연도 예산문제로 서울에서 갖는 중앙발표에 그치고 지방순회공연은 창극단, 극단정도의 몇몇 대도시 순회를 제외하고는 거의 황무지상태다.
이같은 문제는 모든 국민의 납세로 모아진 국고예산을 사용하는 국립공연단체의 문화 혜택이 지방을 소외, 중앙과 지방간의 문화격차 해소에 도움을 주지 못할뿐 아니라 국민 모두의 균등한 문화혜택함유에도 모순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국립공연단체의 활성화는 시급한 문화예술 과제로 부상돼있다.
문화진흥사업 행사와 국립공연단체의 민간이양이 검토되고 있는 배경은 문화예술의 본질적 측면, 홍보문제·흥행경영의 문제등인 것으로 알려졌다.
첫째 문화예술의 창작이나 진흥은 근본적으로 행정이나 정책만으론 좌우할수없는 민간주도의 활동이라는 점이다.
둘째는 많은 관람과 흥행성을 갖기위해 절대 필요한 「홍보」가 언론기관 등이 사업을 주관할 경우쉽게 해결된다는것-.
세째는 민간기관이 이같은 문화예술사업을 맡을 경우 흥행의 수지에 관주도보다 성공을 거둘수있으리라는 기대다. <이은윤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