직업재훈련이 시급하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9면

노인세대의 여가선용 방안에서 가장 바람직한 것은 노인인력의 활용이다.
서울시의 경우 81년 통계에 따르면 65세 이상 노인 21만6천명 중 보호대상 노인 수는 3만9천여명으로 특히 이들 영세노인들에 대한 인력활용이 시급히 요청되고 있는 실정이다.
노인문제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여러 분야의 전문가에게 노인인력 활용 방안을 들어보면-.
고령 인력의 활용은 국가나 사회의 제도적인 장치가 우선되어야 한다는 민재성씨(KDI수석연구원)는 활동이 가능한 노인의 노동력을 최대한으로 활용, 노인들에게 적합한 일거리를 마련해 주는 것은 생계 보호 외에도 여가선용, 건강유지, 역할 기능의 연장이라는 폭 넓은 효과를 가져온다고 지적하고 있다.
남세진 교수(서울대·사회복지과)역시 노인 인력의 활용문제는 정부 차원에서 사회보장제도와 연결시켜 고려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또 연금제도와 퇴직제도를 직장별로 융통성 있게 조정하는 방안과 함께 각 가정에서도 퇴직이나 은퇴후의 생활에 대해 미리 계획을 세워두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는 것.
특히 남 교수는 노인이 되기 전에 자녀를 위해 지나친 희생을 하는 것은 경제적인 측면에서 노후에 보다 심각한 문제를 야기시키기도 한다고 우려를 표명하기도 했다.
노인 인력의 활용방안은 대도시 노인과 중소도시 노인, 농촌 노인으로 구분해 지역적인 특성에 맞는 방안을 마련하는 것이 보다 현실적인 해결 과제.
농촌 노인은 도시 노인에 비해 나이가 들더라도 노인이 해내야 할 역할은 여전하고 오히려 과중노동의 상태에 있는 것이 현실이므로 고령 인력의 활용은 도시노인과 중소도시 노인에게 보다 심각하다고 하겠다.
따라서 이들로 하여금 노인회, 노인정, 노인학교 등 노인 단체별로 취로사업 계획을 세워 농촌의 청장년 인력의 도시 집중화 현상에 대처, 인근 농촌이나 산림 등에 취로케 하는 것이 효과적인 활용방안이라고 김성순씨(서울시 정책조정 담당관)는 제시하고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해결책으로 김씨는 대도시에 인접한 근교 농촌에서는 화원이나 고등채소 등 수익성이 높은 근교 농업을 노인 취로사업으로 발전시키고 도시 노인들을 위해서는 일정구간의 거리 청소, 가로수 관리(새끼줄감기·물 주기 등), 극장 매표, 버스토큰 판매 등을 단체별로 실시하는 것을 들고 있다.
결국 앞으로 대두될 고학력·고령자의 양적 증가와 여성 노인능력의 활용에 따른 노인인력의 당면과제는 ▲단순한 기술 관련직 교육이나 영농 기술 교육에 관한 직업 재훈련 및 취로 안내실시 ▲노인능력 은행유의 고령자 사업 전문기관 설치 ▲노인 전용 작업소와 같은 노인 복지 공장의 실치·운영 ▲적극적인 민간참여와 노인직종의 보호를 위한 정책적인 배려의 측면에서 해결해야한다고 김씨는 지적하고 있다. <육상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