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악인은 왜 생기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2면

세상에는 별의별 사람들이 많다. 버스에서 남의 발을 밟고도 아무런 사과도 않는 사람이 있는가 하면 옷깃만 스쳐도 『미안하다』말하는 사람도 있다.
조그만 일에도 불같이 성을 내는 사람도 있으며, 아주 어려운 형편에서도 늘 웃을 수 있는 사람도 있다.
똑같은 사람이면서도 왜 이같이 천차만별이 나는 것일까.
학자들은 그 이유로 유전과 대뇌피질의 영향력을 들고 있다.
유전은 조상에게서 물려받는 선천적인 것이므로 어쩔 수 없지만 대뇌피질의 영향력은 후천적으로 조절이 가능하다.
인체는 이렇게 유전이라는 정통성을 유지하면서도 환경·교육 등에 의해 후천성으로 수정할 수 있는 방도를 마련해 두고 있는 것이다.
사람의 뇌는 처음 태내에서 수정된 세포가 분열될 때 생기는 뇌간과 척수계가 있고, 그 다음 형성되어 가는 지상하부라는 것이 있으며 비교적 늦게 형성되는 신피질계라는 것이 있다.
뇌간과 척수계는 인간의 근본활동인 반사작용과 조절작용을 맡고 있으며, 구피질과 고피질로 된 친상하부는 본능적인 행동과 감정적인 행동을 관장하고 있다.
뇌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신피질은 소위 이성을 관장하는 곳으로 적응력과 창조를 맡고 있다.
뇌의 발달을 보면 인간이 태어날 때 뇌간이나 시상하부 등은 이미 인간의 본능으로 채워져 있지만 신피질은 거의 아무 것도 기록되지 않은 흰 노트와 같다고 볼 수 있다.
이 흰 노트인 신피질(대뇌우구)은 본능적으로 나가려는 시장하부를 포위하듯이 둘러싸 시상하부의 본능이 튀어나오려는 것을 적절히 억제하고 있다.
그런데 사람에 따라 이 노트를 비워놓는다든지 쓸데없는 것만으로 채운 사람들은 신피질의 본능 억제능력이 없어 충동적인 경향으로 흐르게 된다.
태어나면서부터 부국의 사람, 가정의 화목, 좋은 생활환경, 부모의 몸가짐, 학교교육, 친구와의 대화, 독서 등에 따라 이 노트에 채워지는 내용이 다르게 된다. 따라서 신피질을 채운 내용이 높은 뜻을 가질 때 인간은 본능을 억제할 수 있는 성인이 되고, 잡다한 쓰레기 같은 것으로 채울 때 살인범·사기꾼 등으로 변할 수 있다.
사람이 술을 많이 마시면 이성을 담당한 신피질이 마비되어 상대적으로 본능이 제 세상을 만났다고 날뛰게 된다. 그래서 사소한 일에도 불끈 화를 내거나 싸움을 하고 물건을 부수는 일을 서슴없이 하게된다.
이 세상에는 이 숭고한 신피질에 잡동사니를 집어넣어 남을 괴롭히는 사람들이 너무나 많다. 아기를 임신했을 때부터 높은 뜻을 신피질에 기록할 수 있도록 부모나 사회가 좀더 노력을 기울여야 될 것 같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