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학평론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0면

중앙일보로부터 건네 받은 평론응모 원고는 모두 16편이다.
거의 모두 1백장 안팎에 이르는 공들인 글들이다. 태반이 작가론이고 장르에 대한 고찰이나 우리 문학의 당면 과제를 검토할 원칙론 적인 글도 몇 편 된다.
전반적인 수준의 괄목할 만한 향상이 뚜렷한 특징으로 드러나 있다.
형태상으로 본다면 참고사항을 꼼꼼히 찾아본 각주 달린 논문 투가 많다.
그러나 그런 흐름의 글일수록 문제점도 적지 않이 안고 있다.
심층심리학 및 정신분석학의 관점에서 그 어휘를 사용하여 작품분석을 시도한 경우도 많은데 이런 경우 각별한 엄밀성이 요청된다.
어리 무던히 엇비슷하다고 해서 엄밀성 없이 그 어휘를 적응할 때 그 결과 또한 정확성 없는 모호함으로 그치고 만다.
기호학적 접근을 시도한 몇 편의 경우에도 이 말은 해당된다.
부흥 적 원천을 근거로 해서 분석을 시도하는 것도 모험이지만 그 결과가 작품의 해명보다도 혼란스러운 분해로 그친다면 당초의 목적이 모호해진다.
「최인훈 론」은 논리전개는 무던하나 작중인물의 단편적인 발언을 그대로 작가의 것으로 확대해석해서 재단하는 것은 지나친 단순화라 생각된다.
또 문학외적 분야의 어휘일수록 유연하고 섬세하게 작품 속에 적용해야 의미 있는 비평발언으로 귀결된다는 점을 상기해야 할 것이다.
「지사 적 기개와 미학주의의 갈등」은 차근차근한 논리전개가 안심이 되나 주변적 신변사실 등을 들어서 시인의 입장을 밝힌다는 것이 안이하게 여겨진다. 그리고 정작 중요한 난해한 작품의 해명이 미흡하다.
「한의 맺힘과 풀림」은 야 심이라는 면에서는 극히 소심하다.
한 새로운 시인의 작품을 이해하려고 노력한 흔적이 진솔하게 드러나 있는 일종의 비평적 전진 성이 귀하게 생각된다.
그러나 글 전체가 이해를 위한 기초적 노력 속에 멈춰 있어 탐구의 치열함을 기대하는 뜻에서 가작으로 하였다.
모든 글이 다 그렇지만 평론에 있어서도 자기다운 목소리를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는 것을 이번에 실망한 모든 분들에게 덧붙이고 싶다.
유종호<문학평론가·이대교수>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