88년 올림픽 서울 유치 어려울 듯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88년도 세계「올림픽」경기(24회)의 서울유치계획은 소요예산 총2조억원(80년 불변가격)을 마련하기 어려워 계획발표 1년이 지나도록 유치준비위원회 조차 구성치 못하는 등 차질을 빚고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10월8일 88년도 「올림픽」유치계획을 발표하면서 80년부터 85년까지 경기시설을 비롯해 선수촌·「레저」시설·교통시설 (지하철3, 4호선 포함)등 각종 시설을 갖추기로 했다.
그러나 줄잡아도 1조5천억원의 시설비를 마련할 수 없어 유치신청서만 준비해 놓고 사업을 추진하지 못하고 있다.
시관계자는 85년까지 시설을 갖추려면 내년부터 해마다 3천억원씩의 예산이 필요하며 이는 80년 전체세 수입(3천1백19억원)과 맞먹는 규모로 서울시 총예산(6천9백46억원)의 43%선에 이르기 때문에 서울시만으로는 유치계획을 세울 수 없다고 했다.
정부가 보조해 줄 경우 부담은 조금 가벼워질지 모르나 당초 정부보조는 받지 않는 조건으로 계획을 세웠고 현재의 정부재정형편상 매년 1천억∼2천억원씩 보조해 줄 수 없는 형편이다.
서울시 관계관은 이같은 시설비외에 진행비 등을 합치면 유치비는 모두 2조억원에 이른다고 밝히고 설령 시설을 갖춰 유치에 성공했다하더라도 대회를 제대로 치를 수 있을지 의심스럽다고 했다.
이 관계관은 내년 9월 서독에서 열리는 국제「올림픽」 위원회 총회때 유치신청서를 제출하는데는 문제가 없으나 실현가능성이 없는 형편에서 만약 신청이 받아들여질 경우 우리나라는 국제적인 망신을 당하게돼 내년 9월 이전까지는 뚜렷하고 세밀한 유치계획이 세워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관계관은 또「올림픽」을 개최했던「몬트리올」·동경 등 많은 외국도시들이 지금까지 개최당시의 적자를 풀지 못하고 허덕이고 있는 실정이라고 밝히고 일본「나고야」시가 88년도「올림픽」개최지로 가장 유력시되기도 했으나 올들어 수상이 바뀌면서 당초 약속했던 정부보조를 취소하자「올림픽」유치신청을 신중히 재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