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왜 동생만 예뻐해? 삐딱해지는 큰 아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1면

사진=김수정 기자 vlsghf85@joongang.co.kr

형제자매 간 나이 차가 커지고 있다. 서너 살 차이는 기본이다. 예전에는 많았던 연년생은 이제 찾아보기 힘들다. 늦둥이가 대세라는 말도 나온다. 맞벌이 부부가 많아진 데다 육아에 따른 경제적 부담이 커진 탓이다. 둘째 아이 임신 시 종종 겪는 난임과 첫째 아이를 걱정해 둘째를 갖는 느지막한 출산 계획도 터울이 벌어지는 이유다. 그런데 동생과의 큰 나이 차가 첫째 아이에게는 스트레스가 된다.

과도한 책임감을 요구받는 대신 이해와 관심은 상대적으로 줄어든다. 하지만 대부분의 부모는 이 같은 아이들의 스트레스를 인식하지 못한다. 전문가들은 이 시기의 스트레스가 아이의 성격 형성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고 경고한다.

류장훈 기자

아이들 간 터울이 점차 벌어지고 있다. 통계청의 출생통계가 이 같은 추세를 가늠하게 한다. 출생통계 중 ‘출산순위별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에 따르면, 첫째 아이 출산 시 결혼생활 기간은 평균 21.1개월으로 10년 전인 2002년(21.0개월)에 비해 0.1개월 늘어나는 데 그쳤다. ‘출산순위별 부모의 평균 결혼생활 기간’이란 각 아이 출산 당시 실제 결혼생활 시작에서 출산까지의 기간을 말한다. 반면에 둘째 아이 출산 시 결혼생활 기간은 2002년 51.4개월에서 2012년 54.6개월로 3.2개월 늘었다. 결혼 후 첫째 아이 출산까지 걸리는 시간은 별 차이가 없는 데 반해 둘째 아이 출산 시기는 늦춰진 것이다. 연도별로 보면 첫째 아이와 둘째 아이 출산 간격은 2002년에는 30.5개월이었으나 2004년 32.4개월, 2006년 33.5개월로 지속적으로 늘었다. 2008년에는 34.4개월까지 벌어졌다. 2011년에도 34.2개월을 기록했다. 통계청 인구동향과 손현정 주무관은 “현재 터울 변화를 알 수 있는 직접적인 통계는 없지만 출산 순위별 결혼생활 기간으로 이를 추정할 수 있다”며 “초산 시기는 비슷한 데 반해 둘째 아이 출산이 늦어지면서 터울이 벌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고 말했다.

책임·기대 커지는 첫째 아이

경기도 분당에 사는 주부 정혜인(34)씨는 최근 당황스러운 일을 겪었다. 다섯 살 큰아이가 생후 4개월 된 동생의 젖병을 물고 있었던 것. 우유를 달라고 조르거나 과격하게 떼쓰는 일도 잦았다. 정씨는 “동생이 태어난 뒤로 큰아이가 나이에 맞지 않는 행동을 하는 일이 종종 생겼다”며 “오히려 이런 행동이 실망스러워 크게 꾸짖었다”고 말했다.

서울 강동구에 사는 김현정(32)씨는 최근 여덟 살짜리 큰아이가 부모가 혼내듯이 네 살 밑 남동생을 혼내는 모습을 보고 적잖이 놀랐다. 김씨는 “큰아이가 실수할 때마다 야단치곤 했는데, 동생을 똑같이 혼내더라”며 “큰아이에게 이러면 안 되겠다는 생각을 그때 하게 됐다”고 말했다.

첫째 아이는 둘째가 태어나면 으레 시기와 질투를 한다. 그동안 독차지하던 부모의 사랑을 빼앗긴다는 느낌을 받아서다.

그래서 큰아이는 부모의 관심을 받기 위해 애쓴다. 일반적으로 퇴행행동을 보인다. 아기처럼 말하거나 젖을 달라고 떼를 쓴다. 잘 가리던 소변을 못 가리거나 기저기를 차겠다고 투정을 부리기도 하고 악몽을 자주 꾸기도 한다. 동생이 생겼을 때 아이들이 보이는 자연스러운 이상 행동이다. 하지만 이상 행동을 접했을 때 부모의 반응은 대체로 냉담하다. 아이들의 터울이 클수록 더하다. 타이르기보다 크게 혼내기 일쑤다. 나이가 많은 것에 대한 기대감 때문이다.

가톨릭대 의정부성모병원 김영훈 소아청소년과 교수는 “나중에 동생이 태어나면 부모가 첫째 아이를 형제라고 생각하기보다 동생의 보호자로 여기는 경향이 있다”며 “그래서 부모는 첫째에게 과도한 책임감을 지워준다”고 말했다.

책임만 강요 … 스트레스는 부모 탓

부모의 이러한 기대와 시선은 고스란히 아이에게 부담과 스트레스로 작용한다. 오랜 기간 독차지하던 부모의 사랑을 한순간 잃었지만 보상은 미미하다. 첫째 아이 입장에서 동생이 생기는 것은 위기이자 충격이다. 아이가 받는 스트레스는 배우자의 외도에 비유되기도 한다. 하지만 돌아오는 것은 부담과 구박인 셈이다.

첫째 아이에게는 큰 책임이 뒤따르는 반면 권한은 주어지지 않는다. 이러한 애매한 위치가 아이에게는 스트레스가 된다.

강북삼성병원 신동원 정신건강의학과 교수는 부모가 터울이 있는 아이에게 큰 실수를 하게 된다고 경고했다. 신 교수는 “큰아이의 위계를 거의 부모처럼 올려놓아 첫째 아이에게 많은 의무를 준다”며 “하지만 부모만큼 권한은 없어 아이의 박탈감과 상실감이 커지게 된다”고 말했다.

문제는 대부분 부모의 요구가 아이의 능력을 벗어난다는 점이다. 나이 차이가 나면 부모는 다 컸다고 생각한다. 하지만 동생을 돌보는 것 자체가 아이에게는 능력 밖의 일이다. 그 자체가 아이의 심리를 불안하게 하는 요소다. 신 교수는 “할 수 있는 일과 할 수 없는 일이 명확하게 구분되면 아이는 당당해지지만, 반대로 할 수 없는 일인데도 요구받고 꾸중을 듣게 되면 늘 혼날까 봐 불안해 한다”고 말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