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이번엔 이라크 '채권 錢爭'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6면

이라크 부채 탕감을 둘러싸고 국제사회가 갈등에 휩싸였다.

전쟁을 주도한 미국은 이라크 재건을 위해 부채 탕감이 필요하다고 역설하지만 반전 입장에 섰던 프랑스.러시아.독일은 미국의 일방적인 부채 탕감 주장에 강력 반발하고 있다.

존 스노 미 재무장관은 12일 워싱턴에서 열린 선진 7개국(G7) 재무장관.중앙은행 총재 회담에서 "최고 2천억달러에 이르는 이라크 대외 채무액의 일부라도 삭감해 주도록 협조해 달라"고 요청했다.

애리 플라이셔 백악관 대변인도 지난 11일 "부채 탕감은 채권국들이 이라크 국민에게 베풀 수 있는 선물"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도 "부채 탕감은 채권국들이 결정할 문제"라는 말을 덧붙였다.

앞서 폴 울포위츠 미 국방부 부장관은 10일 "후세인은 프랑스.독일.러시아에서 빌린 돈으로 무기를 사고 궁전을 지었으며 탄압 수단을 강화하는 데 썼다"며 "3개국이 이라크 재건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부채를 말끔히 탕감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프랑스.러시아.독일은 12일 상트페테르부르크 정상회담에서 이라크 부채의 일부를 탕감한다는 데 원칙적으로 합의했다. 그러나 유엔이 주도하지 않은 이라크 재건은 지원할 수 없으며, 부채 탕감이 전체 채권국의 합의 아래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블라디미르 푸틴 러시아 대통령은 "(산유국인)이라크는 가난한 나라가 아닌 만큼 부채 탕감은 채권국 모임인 파리클럽에서 결정해야 한다"며 "오는 6월 프랑스 에비앙에서 열리는 G8(G7+러시아) 정상회담에서 이라크 부채 탕감을 의제로 상정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이라크에 대한 채권은 쿠웨이트가 9백70억달러로 가장 많고, 우리나라는 약 12억7천만달러의 채권을 갖고 있다.

정재홍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