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중동외교의 적극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정부가 좌경비동맹국들에 대한 적극외교의 방침을 세우고 그중에서도 특히 「팔레스타인」해방기구(PLO)와의 관계개선을 위해 적극적인 자세를 보인 것은 시기적으로는 늦은감이 있지만 방향에 있어서는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다.
정부는 이를 위해 연말까지 2명의 수상과 7명의 외상및 18명의 주「유엔」대사를 방한초청하고, 3O개국에 대해 정부사절단을 파견할 계획이라 하며, PLO와의 관계개선을 위해서는 「유엔」등 국제무대에서의 접촉과 그들을 위한 난민구호기금을 더많이 내는등 구체적인 계획을 추진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정부의 방침은 지금까지의 친서방 「아랍」국들만 주로 상대해온 다소 모호했던 대중동외교를 탈피하는 적극적인 자세라는 점에서 주목의 대상이 되고 있다.
이같은 정부의 자세전환은 유가위기에 따른 자원확보의 필요성과 9월 「쿠바」의 「아바나」에서 열릴 비동맹정상회담등에 대비하는 노력으로 보인다.
또 이것은 한미관계가 정상화됨에따라 다른 분야에 눈을 돌릴 외교적 여유가 생긴 것을 말해주는 것이기도 하며, 의원외교의 창구가 동자부에서 외무부로 옮겨진 것이 아닌가 하는 인상을 주기도 한다.
그런 점에서 좌경비동맹국에 대한 정부의 적극외교방침은 정치·경제의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우리와 수교가 없는 「이라크」「알제리」「리비아」「나이지리아」등 「아랍」의 강경비동맹국들과의 관계개선을 위해서는 PLO와의 관계개선이 필수적 전제조건이 되다시피 하고 있다. 「아랍」제국은 현재 PLO에 대한 각국의 태도로 친「아랍」과 친「이스라엘」을 구분하고 있기 때문에 적극적인 대중동외교를 위해서는 PLO와의 관계개선이 불가피하다. 금년봄 「이집트」-「이스라엘」간 평화조약체결이 있은후 정부가 친PLO적인 논평을 한 것이나 박동식의무장관이 오는 가을 「유엔」에서 PLO대표를 직접 만날 가능성을 시사한 것등도 이런 배경에서 나은 것이다.
또 북괴가 주한미군철수 중지를 비동맹국 정상회의등에서 대한악선전의 주요「이슈」로 삼게될 가능성이 크므로 이들 국가에 대해 한반도정세를 이해시키는 외교적 노력도 큰 의미가 있다.
경제적인 면에서 비동맹 산유국과의 관계개선 필요성은 정치적인 의미 이상으로 중대하다.
금년들어 벌써 두번씩이나 유가충격을 겪고서야 새삼 자원외교강화를 서두르는 정부자세는 오히려 만시지탄이 있다고 하겠다. 더우기 중동산유국이 진작부터 석유를 정치무기로 사용하고 있음을 볼때 석유자원의 안정적 확보를 위한 대중동 적극외교의 필요성은 일찍부터 우리 외교의 잘실한 과제였던 것이다.
또 대중동건설수출이 우리의 외환수지에서 차지하는 몫을 보더라도 중동제국과의 호혜적 경제외교는 더욱 확대될 필요가 있는 것이다.
따라서 지금까지 정치적 명분때문에 소홀한 감이 없지 않던 강경산유국들과의 협력확대를 위한 외교·경제적 여건을 조성하는 일이 중요하며, 이들과의 경제협력관계가 졍치적 상황변화에 따라 손상을 받는 일이 없도록 배려가 있어야 할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