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제 2회 「중앙미전」을 계기로 본 현황과 전망|바람직한 신인상|작가의 입장|이중상<동양화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4면

작년에 이어 두번째 중앙미술대전이 다가왔다.
그동안 벅찬 기능을 혼자서 도맡아 해내야 했던 관전이 그 나름대로의 고충과 공로가 있었음은 인정하나 과잉비대증에 걸려 갖가지 병폐를 안고 있었다는 것을 부인할 수 없다.
이런때 중앙미술대전과같은 민전의 출현은 미술계 발전에 여러 가지로 의미를 던져준다.
그러나 여기 임하는 작가들의 태도에 따라 민전은 제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다. 출품작가들이 관전에 임할 때와 같은 자세로 관념적인 권위의식에 빠져 민전을 동경해서는 안될 것이다.
민전을 마치 관전에 등용하기 위해 거쳐야하는 과정으로 생각하거나 이름을 얻기 위한 수단으로 생각해서도 안된다.
이것은 관전과 민전의 성격을 스스로 뭉개버림으로써 민전을 한낱 관전의 아류로 전락시키는 결과가 될수도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은 그 원인이 여러가지가 복합되어 초래되는 현실이기도 하다. 오랫동안 관료사상에 젖어온 기성사회에도 문제가 있다. 벽지의 미술교사가 도시학교를 지원하거나 개인전을 열더라도 관전에서 어떤 경력을 가졌는가를 묻는 것이 상례로 되어있다. 민전에서 인정을 받고서도 관전의 무슨 「타이틀」이라도 또 얻어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된다. 이런 경우를 막기위해서는 민전에서 인정을 받으면 기성화가로서 작품활동을 스스로 해나갈 수 있도록 기성화단에서도 인정을 해 줄 제도적 방안이 강구돼야 할 것이다.
이렇게 되면 해를 거듭할수록 민전출신 작가로서의 자부와 긍지를 갖고 자기의 작품세계로 정진할 수 있고 민전의 성격 또한 뚜렷해질 수 있을것이다.
공모전의 역할은 역량있는 신인을 발굴해 격려와 자극을 주자는 것이다. 공모전에서 상을 받았다고 해서 그것으로 만족하고 안주해서는 안될것이다. 한번의 수상으로 예술가로서의 운명이 결정되는 것이 아니다. 수상에 집착해서 조노되는 현상에 걸리지 않도록 계속 정진해 갈것을 당부하고싶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