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한국 2천년쯤엔 선진국권에|전 EDI원장「애들러」박사 강연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애들러」전 세계은행경제개발원(EDI)원장은 『한국은 아직도 1인당「에너지」소비량이나 사회복지 지표면에서 개도국』이라고 지적한다. 세계적인 석학인「애들러」박사는 이번에 한국은행이 주최한 12회「아시아」태평양지역(SEANZA)중앙은행 간부직원 연수과정에 강사로 초빙됐다. 이하는「애들러」박사의 강연요지와 국내학자·전문가들과의 토론내용을 『세계경제불안정하의 한국경제전망』이란 주제로 요약한 것. <편집자주>
-한국경제의 현황을 총체적으로 어떻게 보는가?
◆…지난 16년간 한국의 1인당 소득증가율은 연7.3%로 전세계 1백25개국 중 6위였다. 77년부터 한국은 국제수지 애로까지 극복했기 때문에 이제 한국경제가 당면하고있는 문제는 60년부터 76년까지 연17%에 달했던 고 비율의「인플레」뿐이다.
-한국경제는 개도국 중 어떤 위치에 있는가?
◆…한국은「눈부신 성장」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개도국에 속한다. 76년의 1인당 GNP는 6백70「달러」로 중간소득국「그룹」의 중간치인 7백50「달러」에도 못 미친다. 그러나 전세계 1백25개국 중에서는 66위 정도이며 77년 중의 성장을 감안하면 한국의 상대적 위치는 보다 높아질 것이다.
-한국이 개도국이라는 점은 1인당 소득기준으로만 평가한 것인가?
◆…한국이 아직도 개도국이라는 점은 선진국의 5분의1에 불과한 1인당「에너지」소비량, 1인당 의사와 간호원수, 도시인구의 높은 증가율에서도 찾아볼 수 있으며 제조업위주의 성장으로 타 개도국에 비해 소득분배가 공평하지만 아직도 선진국에 비해서는 불공평한 편이다.
-한국이 선진권에 진입할 수 있는 시기는?
◆…이제까지의 고성장을 지속한다면 2천년쯤에는 선진국수준인 3천「달러」(내년가격 기준)에 달할 것이다. 한국의 인구증가율은 현재도 선진국에 접근하는 연l.8%이며 특히 교육제도의 정비는 훌륭한 기초가 될 것이다.
-지난 15년간의 한국경제성장의 원동력은?
◆…무엇보다 공산품수출에 있다고 본다. 60년 GDP(국내총생산)의 19%에 불과하던 제조업이 76년에는 34%를 차지하게 되고 수출의 GDP비율은 37%로 높아지는 등 이 기간 중 한국의 상품수출증가율은 연31.7%로 세계1위를 기록했다.
-한국의 수출전망은?
◆…한국의 급속한 수출신장은 60년 이후 세계무역, 특히 한국상품의 80%이장을 수입하는 선진제국의 무역증가에 힘입었다고 볼 수 있다. 선진국의 수입이 앞으로도 계속 증가할는지는 세계경제의 성장전망에 달려있다.
-세계경제의 앞으로의 전망은?
◆…세계경제를 낙관하는 견해도 많으나 78년 중에도 미국의 대규모 흑자지속, 「인플레」의 만연 때문에 선진국의 수요확대가 당분간 기대하기 어려워 앞으로의 전망은 낙관적이 못된다. 선진국 수입수요정체는 대부분의 개도국의 외환수입에 결정적인 타격을 줄 것이나 한국을 포함한 일부 국가들의 수출상품은「수요의 소득탄력성」이 커서 가격과 품질경쟁이 가능할 것이다.
-한국이 앞으로 추구해야할 정책은?
◆…섬유·의류·신발·전자 등 일부제품은 벌써 수입규제대상이 되고있으나 수출시장 여건이 불리해지더라도「대외지향정책」은 지속되어야 한다. 수출증가율이 과거수준에 못 미치더라도 이를 감수할 태세를 갖추어야 할 것이다.
앞으로 한국은 무역협상을 강화하고 국내 후방관련산업의 육성을 꾀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한국은 이제까지는 수출을 성장의 원동력으로 활용해왔으나 이제부터는 성장잠재력을 수출이외 타 부문에서도 찾아야할 때가 됐다. 수출의 대 GDP비율이 비교적 높아 앞으로 국내시장에 대한 투자에 눈을 돌려야한다. 【장현준 기자】
▲1912년 「체코」태생
▲현 세계은행고문
▲1958∼68년 「존스·홉킨즈」대에서 「라틴 아메리카」문제 강의
▲1946년 「예일」대에서 경제학 박사학위 취득
▲경제발전이론 전문가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