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시내·시외버스 요금도 들먹|고속버스 조합의 36% 인상 요청 계기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전국 고속 「버스」 사업 조합 측이 현행 고속 「버스」 요금을 35·8% 인상해 줄 것을 요청한 것과 때를 같이하여 「택시」·시내외 「버스」 등의 운수업자들이 요금 인상 움직임을 보여 당국과 업자간에 또 한차례 교통 요금을 둘러싼 공방전이 벌어지고 있다.
더우기 시내 「버스」의 경우 지난해 10월16일 평균 16%가 인상된 뒤로 반년 남짓만에 또 올려달라고 요청, 당장의 교통비 부담의 가중은 물론, 가뜩이나 뛰고 있는 물가를 부채질하지 않을까 서민들은 걱정을 앞세우고 있다. 운수업자들이 교통 요금 인상을 들고 나온 것은 운전사·안내양들의 처우개 선과 함께 운수업체에 후생 및 복지 시설을 완비하라는 정부의 지시 시한 (증개축 6월말·신축 7월말)이 다가오고 있는 것이 계기.
업자들은 현행 요금으로는 후생·복지 시설의 확충은커녕 그동안 대폭 인상된 인건비·차량 값에 각종 물가의 상승으로 지출 요인이 엄청나게 늘어나 누적되는 적자 요인을 감당하기 어렵고 이를 보전하기 위해서는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고 주장하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른 운수 조합별 인상 요청액이 시내 「버스」가 현행 요금의 51% (77년 요구 58·4%), 시외「버스」 62·1% (77년 41%), 고속「버스」 35·8% 등.
시외「버스」는 77년도에 41% 인상 요청을 했으나 그후 시달된 후생 시설 개선 명령을 이행하자면 인상폭이 확대돼야 한다며 51·1%를 요청했다. 또 시내「버스」는 77년도 「토큰」 재 실시와 함께 5원이 인상됐기 때문에 당초 인상폭을 줄여 요청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시내「버스」측은 지난해 5원이 올랐으나 「토큰」 제작비용으로 서울에서 만도 12억여원이 투입돼 사실상의 인상폭은 미미한 것으로 교통난 해소를 위한 증차 등을 위해서는 요금 인상이 불가피하다는 주장이다.
특히 고속 「버스」와 「택시」는 3년 전인 75년7월1일 이후 요금이 제자리에 묶여 회사의 경영 수지가 극도로 악화, 기업의 도산 또는 경영난으로 대표자가 자주 바뀌는 악순환이 거듭되고 있다고 주장하고 있다. 이들의 주장에 따르면 3년 전 요금 인상 당시 대 당 4천5백만원 (「벤츠」=303기준)하던 차량 값이 6천5백만원으로 30%나 올랐고 인건비가 12만∼14만원에서 25만∼30만원으로 2배 가량, 그 밖의 각종 물가도 크게 오른 데 비해 요금만 3년 전 그대로여서 경영수지를 맞출 수가 없다는 것이다.
또 「택시」운수업자들은 요금의 거리·시간 병산제가 우리의 도로 여건 등으로 실시가 어렵다면 기본요금이라도 현행 2백원에서 4백원 정도(1백%)로 인상해 줄 것을 바라고 있다. 이중 「택시」의 기본요 금 인상안은 교통부 당국자들도 단거리 승객을 막음으로써 「택시」 승차 난을 덜 수 있는 한 방안으로 구상돼온 것.
각 운수조합의 이 같은 교통 요금 인상 요청에 대해 교통부 당국은 그동안 운전사와 안내양의 임금 인상, 각종 물가의 상승 등으로 지출 요인이 늘어 회사 운영이 어려워진 것은 인정하나 교통 요금의 인상에 따른 물가에의 파급 효과, 서민 가계에 미치는 부담 가중 등을 고려할 때 물가 당국과의 신중한 협의 없이는 어쩔 수 없다는 태도다. 또 물가 당국임 기획원 측은 『물가가 안정될 때까지는 교통 요금은 물론 각종 공공요금의 인상을 불허한다』는 방침이고 『물가가 안정된 후에 추후로 검토하겠다』는 태도.
따라서 물가가 언제, 어느 선에서 안정된 것으로 판만 될지 모를 일이나 정부 당국자의 말로 미루어 볼 때 인상시기가 그리 멀지 않을 것이라는 추측을 낳게 하여 시민들의 신경을 곤두세우게 하고 있다. 【남상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