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수학교 정원은 15명 이하가 적정"|특수교육학회 세미나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한국특수교육학회의 제1회「심포지엄」이 지난 20일 이대 미대 시청각실에서 열렸다. 이날 발표된 주제내용 중에서 김정권 교수(한국사회사업대학)의 논문「특수학급 운영상의 문제와 개선 방안」을 소개한다.
신체 혹은 정신상의 결함으로 정상적인 교육을 받을 수 없는 특수 아동의 수는 전국에 약4천4백 명이나 된다. 이들 중에는 학업부진아동이 51%, 교육이 가능한 정신박약아가 45% 그리고 훈련가능의 정신박약아동이 4%를 차지한다.
교내에서 이러한 아동들을 따로 모아 교육하게 되는 특수학급의 수는 2백10개(소년 7월 통계)로 도별로는 서울 4·경기 24·강원 19·충북 12·충남 17·전북 16·전남 26·경북 62·경남 5·제주 3·부산에 2개 교실이 분포되어 있다.
학생을 특수학급에 입급케 하는 판별방법으로는 지능검사만을 통하는 경우가 70%이며 사회성숙도 검사나 운동능력검사를 활용하는 것은 10%정도밖에 안 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현재 특수학급이 보유하고 있는 도서 및 자료는 교사용 도서가 1학급에 평균 7권일 뿐 학생들을 위한 자료는 거의 아무 것도 없는 형편이다. 또 한 학급에 인원은 평균 21명으로 적정 인원인 8∼15명에는 훨씬 미치지 못한다.
이러한 현상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첫째, 학급당인원을 15명 이하로 줄이고 학생의 학력회복에 따라 서서히 본 학급으로 복귀시켜야 한다.
둘째, 특수아동의 가정이 대부분 생활수준이 낮은 현실에 비추어 이들의 교육은 국가에서 책임을 맡는 것이 좋다.
세째, 특수학급은 중복학구제로 해서 인접학교에서도 취학할 수 있게 해야하고 교육자료를 제대로 갖추기 위해 문교부의 재정지원이 필요하다.
네째, 특수학급구성을 위한 아동선별에 잘못이 없도록 도구를 제작, 보급하고 교사들에게는 연수교육을 시켜야 한다.
다섯째, 특수학급교사에게도 특수학교교사에게 지급하는 것과 같은 수당을 지불해서 교사들의 사기가 떨어지는 것을 막는 것이 시급하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