젊은 의사들 "의료윤리 모르는 병협"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원격의료·영리법인 허용을 반대하는 젊은 의사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전국의사 총파업에 적극 동참하기로 한 전공의들에 이어, 공중보건의들은 정부 정책을 지지한 병원협회를 비난하고 나섰다.

대한공중보건의사협의회는 21일 “병협은 국민건강권 수호를 위한 범의료계 노력에 걸림돌이 되지 말라”고 입장을 밝혔다.

공보협은 “지난 12월 15일 여의도에서 전국 2만여 명의 의사들이 올바른 의료제도를 세우기 위한 투쟁을 결의하고, 1월 9일 의사총파업을 선언하는 자리를 가졌다”며 “2000년 의약분업 때에 이어 2014년 의료영리화 반대, 원격의료·영리병원 중단, 건강보험 개혁이라는 내용을 들고 다시 한 번 파업을 예정하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들은 우선 원격의료에 대한 반대 입장을 밝혔다.

벽오지 등에서 직접 근무하는 공중보건의사로서 원격진료가 가지는 진료로서의 한계를 누구보다 뼈저리게 느끼고 있다는 것.

이들은 “환자 건강 악화 등 너무 큰 부작용이 우려되는 상황에서 선시행 후보완의 자세로 밀어붙이기에는 의사가 감당해야 할 문제와 국민의 건강상의 피해가 심히 걱정된다”고 강조했다.

이어 영리병원에 대해서는 의료 기형화를 초래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공보협은 “이미 사무장병원에서 정부재정을 축내고 환자에게 경제적 위해를 가하는 경우는 일일이 설명할 수 없을 정도로 많다”며 “병원의 영리화는 이를 오히려 장려하는 것으로 피해는 눈덩이처럼 불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한 열악한 의료 현실을 되짚었다. 이들은 “의사면허만으로 꿈꾸던 장밋빛 미래는 이미 옛날 일”이라며 “장례식장, 매점, 주차장 등의 부대사업으로 병원 경영을 유지해야 하는 상황에서 의사는 병원경영에 크게 영향을 받아 의료의 주체가 되기 어렵다”고 토로했다.

이런 상황에서 원격진료·영리병원 찬성 입장을 내건 병원협회를 향해서는 “당연히 내릴 수 있는 결정”이라고 언급했다.

단 의사가 아닌, ‘건강이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다’는 단순한 의료윤리조차 알기 어려운 경영자들의 집단으로 병협을 바라봤다.

공보협은 “병협이 스스로 의료계를 대표하는 단체가 아니라는 것을 대외적으로 천명한 셈”이라며 “병협이라는 모호한 이름이 아닌, 병원경영자협회로 이름을 바꿔야 할 것”이라고 꼬집었다. 중소병원 역시 병협이라는 이름 아래 한데 묶여 지탄받지 말고 올바른 목소리를 내라는 게 이들의 주장이다.

이어 “젊은 의사들이 현실에 개탄하게 된 것은 기형적인 의료제도가 계속 자랄 수 있게 해준 선배의사들의 발자취라고도 볼 수 있다”며 “후배들이 더 나아진 의료현실에서 전문가로서 존엄을 지킬 수 있도록 선배의사들이 노력해주길 바란다”고 덧붙였다.

한편 또 다른 젊은 의사 집단인 대한전공의협의회 역시 원격의료·영리법인 허용을 반대하며 3월 3일 전국의사 총파업에 동참하기로 결의했다.

대전협 장성인 회장은 “단지 전공의로서가 아니라 의사로서, 또 앞으로 오랜 시간을 의사생활을 해 나갈 젊은 의사로서 여러 가지 부당한 제도와 상황에 대해서 개선하기 위해서 대의적인 참여 명분이 충분히 있다”고 설명했다.

▲ 전공의, 공중보건의 등 젊은 의사들이 정부의 원격의료ㆍ영리병원 허용에 반대입장을 내놓고 있다. [자료사진]

[인기기사]

·비리어드 개량신약 개발 언제쯤? [2014/01/22] 
·‘증가하는 조기암, 형광물질로 잡는다’ [2014/01/21] 
·“전문의약품은 이름 비슷해도 상표권 침해 아냐” [2014/01/22] 
·경기악화에 환자 감소…의료계 생존경쟁 치열 [2014/01/22] 
·"의료계 어려움, 한의계 탓으로 돌리지 마라" [2014/01/21] 

오경아 기자 okafm@joongang.co.kr <저작권자 ⓒ 중앙일보헬스미디어 무단전재 및 재배포금지>

※위 기사는 중앙일보헬스미디어의 제휴기사로 법적인 책임과 권한은 중앙일보헬스미디어에 있습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