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가항공 업고 청주공항 뜰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16면

청주국제공항 활성화를 위해 저가항공사(LCC) 유치가 본격 시작됐다. 정부가 추진 중인 민영화 사업이 지지부진한 가운데 충북도와 민간단체가 청주공항을 기반으로 하는 저가항공사 유치에 본격 나서 결과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정부는 지난 2009년 공기업 선진화 정책의 일환으로 청주공항 민영화를 추진했다. 연간 이용객이 100만 명이 넘고 적자가 다른 지방공항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다는 이유에서였다. 하지만 올 1월 공항 운영권 인수사업자가 자금을 제때 납부하지 못하면서 중단됐다. 정부는 지난해 10월 국내 한 회계법인에 청주공항 운영방안 연구용역을 의뢰, 내년 4월 결과가 나올 예정이다.

 이런 가운데 충북지역 민간단체인 청주공항활성화대책위원회가 지난 16일 충북도청에서 간담회를 갖고 아시아지역 최대 저가항공사인 에어아시아그룹 한국 자회사를 청주공항에 유치하기로 결의했다. 말레이시아에 본사를 둔 에어아시아는 25%의 지분출자를 조건으로 자본금 600억원 규모의 ‘에어아시아 코리아’ 설립을 추진 중이다.

관계기관에 따르면 에어아시아가 추진 중인 법인에는 우리나라 중견기업 등 7개 이상의 주요 투자자가 주주로 참여하게 된다. 저가항공사의 이름은 ‘세종에어라인즈(가칭)’가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투자자의 지분이 75%인데 지방자치단체도 관련법(지방공기업법)이 허용하는 범위에서 참여가 가능하다.

현행법상 자치단체는 산하 지방공기업을 통해 지분의 10% 이상을 참여할 수 있다. 충북도는 에어아시아가 아시아를 기반으로 대규모 국제노선을 운영하는 회사로 유치에 성공하면 청주공항이 크게 활성화할 것으로 기대했다. 전문가들은 국토교통부가 설립 허가를 내줄 경우 이르면 내년 10월부터 운항이 가능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대책위원회 이승훈(전 충북도 정무부지사) 위원은 “지난 9월 항공사(에어아시아) 관계자가 관련 부처를 방문해 신규 항공사 설립 필요성과 회사의 명칭 등을 설명했다”며 “사업장 위치와 지분 비율 등 구체적인 자료도 제출한 것으로 안다”고 밝혔다.

 대책위는 우선 정치권을 상대로 유치활동에 나설 방침이다. 에어아시아 코리아 설립이 추진단계지만 다른 나라는 물론 국내 다른 공항과의 경쟁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설립허가 단계 전부터 유치활동에 본격적으로 뛰어들 계획이다.

 대책위 이욱 사무국장은 “지역 민간단체와 국회의원을 중심으로 청주공항 유치에 적극 나설 계획”이라고 말했다.

신진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