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 방향 찾아야 할 재일 교포교육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제4회 해외교포문제강연회가 지난달 30일하오6시, 한국일보사강당에서 해외교포문제연구소 주최로 열렸다. 전주일 장학관을 지낸 이영열씨는 재일 교포교육의 배경과 정부시책 교육현황 등을 분석하고 교육정책의 문제점과 앞으로의 방향을 제시, 주목을 끌었다.

<제4회 해외교포문제강연회서>
그는 재일 교포 교육의 배경으로 재일 교포는 민족적 열등의식과 중산층이 미약한 사회구조, 일본으로의 동화경향 등 사회적 심리적 특질을 가지고 있으며 또 일본 국과 일본인으로부터의 차별대우, 공산세력과의 대결, 법적 지위와 장래를 보장받지 못하는 환경적 특색을 가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러한 재일 교포에 대한 한국정부의 교육지원은 1957년에 처음 시작되어 재일 교포학교 시설 보조금으로 2만2천「달러」가 지급됐고 4백만 환의 도서가 공급됐다. 그러나 같은 해에 시작된 북괴의 조총련계교포에 대한 교육보조금은 61만5천 「달러」에 달했다는 것이다.
63년은 재일 교포 교육의 전환기로 교육문화「센터」가 설치되어 당시까지 학교교육에만 치중해 오던 교포교육정책이 사회교육에도 미치게 됐으며 또 교포들의 자치교육능력을 기르기 위해 재일 한국인 교육후원회기금이 처음 마련됐다. 57년부터 70년까지 14년 동안 한국정부가 재일 교포교육에 대한 지원액은 미화4백15만 「달러」와 한화1억3천8백여 만원이었다. 그러나 이 기간동안 북괴의 조총련계교포에 대한 교육투자금은 2천6백99만「달러」였다.
일본의 학생 수는 전체적으로 줄어들었지만 교육투자가 시작된 후 한국학교의 학생 수는 60년에 비해 70년에는 29%가 늘어났다. 그러나 조총련계의 학교 학생 수는 같은 기간동안 44%나 늘어났다.
이와 같이 한국학교의 학생 수는 교육투자 이후 많이 늘어나긴 했지만 전체 교포 학생 수에 대한 비율은 너무 미약하다.
13만 명의 재일 교포학생 중 71.9%가 아직도 일본학교에 다니고 있으며 26.5%가 조총련계학교에, 그리고 1%만이 한국학교에 다니고 있는 것이다. 여기에 중립계 학교를 포함해도 1.6%에 불과하다.
63년부터 재일 한국교육문화「센터」가 생겨 70년에는 30개소로 늘어났지만 양보다는 교육의 내용·효과 등질이 더 시급한 문제다.
동경에 있는 외국학교의 국민교 6년 과정에서 자국어 교과 배당시간을 보면 한국학교가 전체수업시간의 18.2%인 주6시간, 화교학교는 16.6%인 주6시간, 미국학교는 33.3%인 주10시간, 조총련계 학교는 25.8%인 주8시간으로 되어있다.
미국학교 이외에는 자국어 교육시간이 별차 없지만 문제는 미국학교·화교학교에서는 다른 수업시간도 자국어로 교육시키고 있는 반면 한국학교에서는 한국어시간에도 일본어를 가르치고 있다는 점이다.
재일 교포 교육에 있어서는 일본의 국제관계 둥 국제환경, 일본국민과의 동일지역사회를 이루고 있다는 점, 조총련과 공존 또는 대결하고 있다는 점 둥 어려운 문제들이 많다.
이러한 교포의 교육정책에 있어서는 교육투자의 효율성 문제, 교육목표의 확립문제, 재일 교포의 교육자치능력문제, 교육발전에의 저해요인 문제 등이 고려되어야 한다.
끝으로 이영훈씨는 재일 교포 2세 교육에 있어서 방향의 정립과 효율적 정책실시를 위한 제언으로 첫째 통일에 대비하는 교육의 일환으로서 재일 교포 교육관의 구명·확립, 둘째 국민적 차원과 거정부적 수준에서의 재일 교포 교육을 위한 정책심의제도의 확립, 세째 재일 교포교육의 일반목표와 유층적 각 교육조직의 목표 명확화, 네째 장기·종합적 재일 교포교육 계획의 수립·실천, 다섯째 전략적 중점사업의 과감한 추긴 등을 들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