쑥쑥 크는 한국의 비영리 조직들 자율성·짜임새 좀 더 살렸으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6면

“한국의 비영리조직들은 양적으로 빠르게 성장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더 조직화될 필요가 있습니다.”

 웬디 얼스(55·사진) 국제비영리학회(ISTR) 회장은 한국의 비영리 부문에 대해 이렇게 평가했다. 비영리학회는 비정부조직(NGO), 자원봉사 활동, 각종 시민단체 등 비영리 부문 전반과 시민사회에 대해 정책개발, 관리기법 등에 대해 연구하는 학자들의 모임이다.

 얼스 회장은 지난 24~26일 서울 백범김구기념관에서 열린 제8차 국제비영리학회 아시아태평양 지역 국제학술대회 참석차 방한했다. ISTR 국제대회가 한국에서 열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번 학회의 주제는 ‘비영리 법제, 정책, 현실: 변화와 평가’. 미국·일본·중국 ·독일·영국 등의 비영리 부문 연구자 150여 명이 참석했다.

지난 25일 학술대회장에서 만난 그는 “비영리조직이 생긴 지 얼마 안 된 나라들은 법적·정책적 문제들이 정비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학술회의를 통해 그런 부분의 노하우를 공유하고자 합니다”라고 말했다.

  현재 호주 제임스쿡대 교수인 얼스 회장은 지난 20년간 호주 비영리조직의 변화에 대해 누구보다 잘 알고 있는 사람으로 꼽힌다. “호주의 비영리조직들은 지난 20년간 점차 성장해왔습니다. 규모가 커지면서 점점 더 기업화 됐어요. 기업들과의 관계도 더 가까워졌고요.”

 최근 그가 관심을 갖고 있는 것은 비영리조직의 규모와 성격 변화에 따른 구성원들의 적응 문제다. 어떤 조직이든 규모가 커지면 관료화 되기 쉽다. 자율성이 중요한 비영리조직의 경우 대형화·관료화 될 경우 구성원들이 더 큰 혼란을 겪을 수 있다.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를 통한 마케팅과 모금의 중요성도 커지고 있다고 한다. 또 비영리기구 자체의 투명성과 측정 가능한 결과물을 요구하는 목소리도 높아지고 있다. 그는 변호사·경제인 등 다양한 분야의 전문가들이 비영리 부문 활성화를 위해 공조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 다양한 규모와 성격의 비영리조직이 활동할수록 건강한 사회입니다. 이들 을 지원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해야 합니다.”

박혜민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