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환율·금리·가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5면

지난달 26일을 기해 환율이 대폭 인상되고 금리가 내렸다. 환율을 올리고 금리를 내림으로써 국민경제 특히 가정 생활에는 어떤 영향을 미치게 될 것인가? 환율이 오르면 일시나마 물가에 영향을 주게되고 바로 이 물가는 가정 생활에 다소 적자를 초래하게 되는 것이 보편적 현상이라 볼 수 있다. 물가가 오르는 물품 중에는 수입 물자 가격이 우선 올라가는 것이 상례다. 소위 해외에서 수입해 오는 원자재 물품 등이 많이 오르게 된다. 물론 수입 물품에만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반 물가에도 다소 영향은 있다. 전반적인 물가가 오르고, 가계부에는 일시적이나마 적자를 주게 되는데, 왜 그러면 인상을 할까?
환율 인상은 수출을 촉진시키고 한편으로는 수입을 억제하여 사치성 소비 물품을 억제함으로써 건전한 국제 수지를 유지하는데 목적이 있다. 그 다음은 환율과 물가와의 차이를 좁힘으로써 경제를 정상화하고 기업의 운영을 합리화하며 나아가 이를 통해서 국민들의 소비생활을 건전화하는데 있다. 물론 이 두 가지 이외에 한국과 미국과의 경제적 특수 유대 관계도 있다. 하여간 환율 인상으로 가정에서 쓰는 물품이나 특히 심리적 영향을 겸하여 물가가 올라 생활이 다소 어려워질 것은 틀림없는 사실이다.
한편으로 예금 금리가 조금 내렸다. 단견으로 볼 땐 가정에서 든 적금이나 예금 이자가 적어지게 된 셈이다. 그러면 금리는 왜 내렸을까? 여기에도 큰 이유가 있다. 대출 금리가 너무 높으면 주요 생필품이나 물자를 생산하는 기업체가 부담하는 액수가 크기 때문에 자연 물가가 비싸지게 마련이다. 따라서 금리 부담을 덜어 원가 「코스트」를 떨어뜨려 물건값을 싸게 하기 위한 조치다.
즉 환율을 올림에 따라 높아질 가격을 금리로써 상쇄하기 위한 것이라 볼 수 있다. 자연, 이렇고 보면 은행도 조금이나마 이익을 봐야하니까 예금 이자를 떨어뜨리지 않을 수 없는 것이다. 따지고 보면 환율을 올린 것이나 금리를 내린 것은 다같이 잘 살아 보자는 정책임에는 틀림없다. 그러나 당국자들로서는 이러한 과감한 조치를 할 때는 물론이고 조치를 한 후에도 어떻게 하면 국민 생활에 부작용이 없겠는가를 심사 숙고하고 보완 대책을 시급히 마련해야 할 것이다.
국민 소비자 입장으로서는 어떻게 할 것인가? 다소 물가가 올라가고 이자 수입이 적어지더라도 국가 시책에 호응하는 아량이 있어야겠다. 즉 가정 주부들인 경우 외국제 물품이 아니면 안 쓴다는 사고 방식에 다소 침을 놓는 수단이 되기도 한 것이다.
외국에서 원료를 들여다 물건을 만들면 이것을 귀중하게 써야겠고, 솔직이 말해서 고급품이거나 사치품은 가격을 올려서라도 안 쓰고 가정 저축을 늘게 할 필요도 있다. 그러기 위해서 주부들은 소비 생활을 반성하는 계획성 있는 예산을 세워 규모 있는 가계를 꾸며야 할 것이다.
종래의 소비 품목을 다시 한번 훑어 무엇을 줄여야할까를 수판 놓지 않는다면 적자를 감당하기 어려운 것이 우리의 실정이다.
외국과는 달리 한국인들은 수입에 비해 소비가 높다고 한다. 물가가 오르는 것을 기회로 우리의 소비 생활을 합리화시키면서 분수에 맞는 살림을 꾸민다면 가정 저축으로까지도 끌고 나갈 수 있을 것이다.
『웃음 있는 가정, 알고 보니 가정 저축』이란 「포스터」가 거리에 많이 붙어있다. 이번의 환율 인상과 금리 인하 조처가 가정의 저축을 늘리고 나아가 건전한 국민 소비 풍조를 불러 일으키는 좋은 계기가 되길 바란다.
이상운 <전경련 국제 협력부 차장>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