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하수도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서울의 하수도는 상수도 못지 않게 시급하다.
매년 장마 때면 한강 물이 둑을 넘어 물바다를 이루는 곳이 12개소이고 시내의 물이 빠져나가지 못하는 고질적 인내 수 침수지역만도 63개소나 된다.
서울의 하수도 보급률은 27%. 이것마저 하수도 곳곳이 막혀있고 하수용량이 부족하다. 때문에 시간당 30m의 비만 와도 도심지가 물바다를 이루고 교통이 두절된다.
시내 10여 개 하천 둑과 복개부분에는 주택·강가 등이 5천9백89개가 점용하고 있으며 면적은 1백18만1천5백 평에 이르고 있다.
복개부분의 하천은 거의 메워지다 시피 했고 물은 극도로 오염되어 있어 상수도 원수를 크게 위협하고 있다.
청계천의 생화학적 산소요구 량(BOD)은 7백 PPM이고 우이천은 9백46 PPM, 안양천은 6백72PPM 등으로 한강 물을 오염하고 있다.
따라서 인구 5백만인 거대도시에 하수처리장 1개소가 없다는 것은 국제 도시로 낄 수 없으며 도시로서의 기능이 갖추어져 있지 않은 것으로 지적되고 있다.
외국에는 인구 20만 명만 넘으면 하수 처리장 건설을 하는데도 서울은 이제 청계천에 겨우 하수처리장 건설을 착수했다.
만신창이의 서울의 하수 문제를 해결하는데도 약 3백50억 원의 재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다.
우선 진창길을 면하기 위한 하수도 보급에 1백95역8천8백만 원이 필요하다.
현재 서울의 하수도 총 길이는 1천3백54㎞. 서울의 주거면적을 1만5천2백43㏊로 잡으면 최소한 3천48㎞의 하수도가 필요하다. 서울시는 70년부터 매년 약 20억 원을 들여 1백70㎞씩 시설을 연장, 79년 말까지 하수도 시설을 완비할 계획을 세우고 있다.
75개 침수 지역에는 72억2천만 원을 들여 물을 퍼내는 배수「펌프」장 시설을 해야한다.
청계천 이외에도 중랑천 하수처리장과 서부 하수처리장(불광천·욱천), 남부 하수처리장 (안양천·도림천)등을 건설하려면 최소한 1백50억 원이 필요하다.
앞으로 10년간 매년 5억 원의 투입되어야 70년 말에 하수문제가 해결될 수 있다. 그러나 서울시의 한정된 예산으로는 매년 25억 원 이상을 하수도 사업비에 충당하지 못하는 실정.
외국의 경우에는 하수 세를 걷고 있다.
오수 량을 수도 급수 량에 지하수를 합한 것으로 계산, 수돗물 소비량 즉 수도요금을 기준해서 하수 세를 부과한다.
상수도의 원수보호가 바로 하수시설완비 여부에 직결되고 있다는 점과 서울시의 하수도 사업비가 수익자 부담원칙이 아니어서 자금이 흘러 나갈 뿐 회수 안되고 있다는 점등에 비추어 하수 세 신설 등도 구상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다. 수도요금 등은 따로 받아 재투자하면서 하수도 사업비는 일방적으로 투자만 한다는 것은 모순이 많다는 주장이다.
단 유수지 건설로 직접 혜택을 보는 침수지역의 주택 및 땅주인에게도 수익자 부담 원칙아래 건설재원의 일부를 회수해야 한다.
서울의 하수도에 1년간 막히는 토사 량은 약 20만「루베」. 이를 준설하는데는 매년 2억 원 이상이 든다. 토사 량을 줄이기 위해서는 무질서한 개간사업 정비와 침 사지 건설과 녹지 등 사방 사업이 뒤따라야 한다. 또 연료 현대화로 구공탄 등 쓰레기 양을 줄이는 방안도 강구 되어야한다.
이밖에 석관동·이문동 등 저지대는 지하수와의 거리가 불과 10㎝도 안 되는데 건축 허가 때 이들 지역에 대해서는 충분히 매립 공사를 선행토록 하는 건축장의 제한을 해야 한다는 의견이다.
서울시는 이제 눈에 띄는 건설사업에만 주력할 것이 아니라 눈에는 보이지 않으나 조금만 늦장을 부리면 도시의 암이 될 하수 사업에도 눈을 돌려야 할 때가 왔다. <이원달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