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천후 소외 지대…관상대|이름뿐인 기구개편 그 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6면

정책 면에서나 예산 면에서 한 대 지방에 속해 있던 중앙 관상대가 겨우 가느다란 햇빛을 보면서 기구가 약간 증설되고 구성원이 느는 등 해방 후 20년 동안 고질화되었던 체중이 뚫리기 시작했다.
표면적으로 봐서 중앙 관상대 안에 기상 업무부와 연구 조사부가 신설되고 부산측후소가 승격하여 부산 지대, 목포측후소가 승격이 되어 광주로 이전하면서 광주지대가 되면서 1명뿐이던 2급 공무원이 3명으로 늘어났고 69개소의 농업 관측 출장소와 1개의 항공 관측소 (전주), 1개의 항공 관측소 (대관령) 등 도합 71개의 관측소가 1백8개소로 대폭 늘어난 것 등이다.
즉 방재 기상 관측소 23개소 (종관 관측 22, 레이다 관측 1), 농업 기상 관측 79개소 (지역 농업 기상 관측 10, 보조 농업 기상 관측 69), 고층 기장 관측소 1개소 (포항), 항공 기상관측소 5개소 (김포·부산·전주·삼척·제주) 등 l백8개소이다. 인원도 1백64명이 늘어 기상 업무에 종사하는 인원이 5백16명이나 된다.
그러나 표면적으로는 기구가 개편되어 늘어난 것처럼 보이나 사실상은 69년도 한해 동안에 늘어난 농업 관측소를 각 도청 소재지 측후소에 봉합시켜 일원화한데 불과하고 지대 설치 역시 관상대 안에서 이미 66년부터 부산관구 목포관구라고 부르던 것을 표면화시키고 행정적으로 인정한 것에 불과 하다.
그러길래 중앙 관상대의 기구 개편에 따라 좀더 신속하고 정확한 예보가 나오리라는 국민의 속단은 그릇된 생각이다. 종전 체제에서 별반 진전을 보지 못하고 겨우 한 발짝 앞으로 내디딘 상태이기 때문이다.
오히려 실제적인 면에서는 문제점들의 부각이 더욱 뚜렷하다. 지대장으로 승진, 발령을 받고 가게된 K씨는 『승격했다고 해서 기뻐할 것이 하나도 없습니다. 현실적으로는 받는 돈이 적어져 손해입니다』고 울상을 지을 정도다.
일제시대부터 존재하는 관상대는 해방 전에 있었다는 죄 (?)로 정부 조직법에 의해 설치된 기구가 아닌 대통령령으로 설치되는 것으로 되어왔기 때문에 예산면 등에서 계속 천대 (?)를 받아왔다. 과기처 산하 연구 기관들이 크게 우대를 받는데 비해 관상대만은 고작 3급이 6천원, 4급이 4천5백원, 5급이 3천원의 수당을 월급 외에 받는게 고작이다. 그리고 이것들이 수업의 전부를 이룬다. 뿐만 아니라 3갑이라 하더라도 「상보관」이란 직책을 못 갖고 「예보과 근무를 명함」이란 직책으로 행정적인 천대 (?)까지 받아 오고 있다.
연구비라는 명목 등 예외로 지출되는 게 없기 때문에 생활에 위협을 느껴 모두 기상직에 종사하기를 극히 꺼리고 있다. 『총각들이 장가 못 가는 곳』이라는 별칭이 붙어있다. 이직율이 대단히 높을 뿐 아니라 아예 들어올 생각들을 안 하고 있다. 기상학을 전문적으로 연구했다는 서울대학교 천문 기상학과 졸업생 2백여명 중 단 4명만이 이곳에 머무르고 있을 정도로 그 인기는 형편없다.
그래서 가뜩이나 모자라는 엘리트 인원에 그 정도는 더욱 심해가고 있다. 우리 나라의 경우 전국을 커버하는 기상 체제를 세우려면 약 1천5백명의 인원이 필요한 것으로 추산되고 있는데 현재는 늘어나서 5백명 남짓. 일본의 약 7천명과 비교해서 너무나 뒤지고 있다.
예산이 너무 적게 책정되고 있는 것은 관상대 발전의 큰 문제점이다. 70년도의 예산 2억7천만원이란 인건비 1억 정도와 유지비 통신비 등을 제하면 기계 구입비는 거의 엄두도 못 내게 하는 돈이다. 매년 우리 나라가 입고 있는 한·수해의 피해가 1백50억원 정도인데 이를 예방하는 백신 역할의 관상대 예산이 이의 1백분의 2도 채 못되니 너무 적다고 할 수밖에 없다. 가까운 일본의 경우는 매년 약 1백억.
예산의 뒷받침과 예보 기술자들의 처우개선, 연구시설의 확충 등이 기구 개편에 이어 곧 뒤따라야 우리 나라 관상대는 제 기능을 하게 될 것이다. <이봉근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