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오피니언 서소문 포럼

평균의 함정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32면

설립자가 비리 혐의로 구속된 서남대와 한려대는 정부로부터 재정 지원을 받지 못하는 대학이다. 전국 4년제 165개 대를 취업률, 학생 충원율 등으로 평가해 순위를 매긴 뒤 하위 15%를 잘라내 불이익을 주는데, 여기에 속해 재정 지원을 못 받게 된 건 아니다. 놀랍게도 정부 평가에서 두 학교는 하위 15%에 속하기는커녕 중위권 성적을 냈다. 대신 두 학교는 학교 정보를 공개하는 공시를 허위로 했다는 이유로 재정 지원 제한을 받게 됐다.

 그래서 두 대학이 어떻게 중위권 성적을 받게 됐는지 알아봤다. 이상하게도 두 대학엔 평가지표 값 가운데 시간강사 비율이나 등록금 인상률 등이 없었다. 대학이 이 자료를 제출하지 않았던 것 같다. 하지만 공란이 된 값(missing value)은 평균 값으로 입력됐다. 대학이 자료를 제출하지 않아도 평균 값을 넣어준 것이었다. 최하의 점수를 준 게 아니라 평균을 주다 보니 엉뚱하게도 두 대학은 몇 개 평가지표에서 득을 보게 됐다.

 이뿐만 아니다. 국립대엔 법인 전입금이 없다. 국민 세금으로 운영하는 대학이기 때문이다. 그런데 재정 지원 제한 대학을 걸러내는 평가지표엔 법인 전입금, 법정 부담금의 지표가 있다. 국립대는 그럼 이 두 지표에서는 어떻게 평가됐을까. 앞서 사립대인 두 대학의 경우처럼 평균 값으로 처리됐다. 국립대가 평가 순위에 밀려 재정 지원 제한을 받는다면 정말 어이없는 일이겠으나 국립대 입장에서 걱정할 필요는 없다. 평가를 담당하는 정부 쪽 사람들이 알아서 척척 평균 값을 넣어주니까.

 평균, 그중에서도 산술평균은 광범위하게 활용된다. 요즘 아이들의 성적표엔 과목 평균, 전체 석차는 없어졌으나 수능에서도 평균은 활용된다. 과목마다 평균과 표준편차를 구해 표준점수(Z점수)를 낼 수 있으며 등급도 구한다. 입사시험, 언론사 대학평가, 정부 재정 지원 평가에서도 평균은 중요하다. 평균을 구하려면 여러 다양한 점수를 먼저 합해야 한다. 면접시험 점수와 필기시험 점수를 합해 합격자를 낼 때도 평균은 내지 않지만 합산은 한다. 그래야 어느 누가 가장 많은 점수를 얻었는지 알 수 있다.

 A학생과 B학생이 있다. 국어·영어·수학·과학 점수가 나왔다. A는 21, 1, 1, 1점을 받았다. B는 6, 6, 6, 6 점을 받았다. 합산하면 둘 다 24점으로 같고 평균은 6점이다. 이제 두 학생 중 한 명을 선택하려고 한다. 누굴 선택해야 할까. 평균의 고정관념에서 벗어나지 않으면 둘 중 하나를 선택하기 쉽지 않다.

 더하기 합산과 평균의 맹점은 특정 분야나 지표의 점수가 좋지 않다고 해도 다른 분야나 지표의 점수가 이를 덮어줄 수 있다는 것이다. 유엔개발계획(UNDP)은 몇 년 전부터 인간개발지수(HDI)를 산출할 때 더하기 합산과 산술평균을 쓰지 않는다. 그 대신 곱하기 합산과 기하평균을 쓴다. 합산은 더하기만 있는 게 아니다. 곱셈 합산과 기하평균을 쓰면 A학생과 B학생 중 B학생이 더 우수하다는 결론이 나온다.

 정부의 지원이 절실한 대학 어디도 이런 문제를 제기하지 않았다. 몰랐기 때문인지, 공무원들의 심기를 건드리기 싫었기 때문인지 알 수는 없다. 국회에서도 마찬가지다. 객관화된 자료를 기초로 점수를 합산해 평균을 낸 뒤 석차를 구했기 때문이다. 숫자의 강력한 힘에 국회의원들도 이의 제기를 못하는 셈이다. 진보정의당 정진후 의원이 국립대 총장 직선제 폐지의 문제를 제기하면서 총장 직선제 폐지 여부가 평가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줬다고 분석해 자료를 낸 일이 있다. 국회의원 중에서 그가 아마 가장 문제의 핵심에 가까이 다가갔다고 본다. 그가 분석한 대로 총장직선제 폐지 여부를 평가지표에 넣거나 뺄 때 국립대끼리 순위는 확 달라진다. 전체 합산 점수, 평균에 영향을 미쳐 표준점수화된 총점·순위가 달라진다. 순위에 따라 정부 돈을 한 푼도 받을 수 없게 된다.

 평균은 함정이다. 우리가 파놓은 고정관념에 빠져 그 안에 있는 게 아주 당연한 듯 여기게 하는 것이다. 그런 함정에 빠질 때 우리가 객관적이라고 부르는 점수나 순위에 항거할 수 없다.

강홍준 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