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선인, 장관 후보 6명 지명 배경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박근혜 대통령 당선인이 13일 인수위 외교국방통일분과 국정과제토론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왼쪽은 김용준 인수위원장. [인수위사진취재단]

북한의 3차 핵실험 이튿날인 13일 박근혜 정부의 외교안보라인이 모습을 드러냈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 후보자와 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가 북핵 난제를 풀어갈 ‘키 플레이어’로 나서게 됐다. 설 연휴 직전 청와대 보좌진 가운데 먼저 발표된 국가안보실장(김장수 전 국방부 장관) 및 경호실장(박흥렬 전 육군참모총장)과 함께 외교안보 진용을 구축하게 됐다.

 김장수-윤병세-김병관으로 이어지는 외교안보라인의 특징은 대북 매파란 점이다. 북한 도발에 대한 강경 대응의 메시지가 담겨 있다. 특히 윤·김 장관 후보자는 한·미 관계에 정통하다 . 윤 후보자는 주미 공사를, 김 후보자는 2008년 한미연합사 부사령관(대장)을 끝으로 예편했다. 한미연합사 부사령관은 한미연합사령관을 겸하는 주한미군사령관과 호흡을 같이하는, 한·미 동맹의 실질적인 연결고리다. 육사 한 기수 선배(27기)인 김장수 청와대 안보실장 내정자와의 관계도 고려한 인선으로 풀이된다. 한·미 공조를 기본으로 북핵 문제에 대처해 나가겠다는 박 당선인의 뜻이 반영된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다만 외교안보라인의 또 다른 축인 통일부 장관은 이번 발표에서 빠졌다. 한때 부분 조각이 발표된 오전 11시 직전까지만 해도 통일부 안에선 김천식 현 차관이 장관으로 발표된다는 설이 나돌았다. 그러나 막상 명단에는 빠져 통일부 내에서도 해석이 분분했다. 일단 대북 관계가 전면중단될 수밖에 없는 상황이라 통일부 장관 인선은 시급함이 덜하다는 점에서 발표를 보류한 것이라는 게 인수위 관계자들의 설명이다.

 황교안 법무부 장관 후보자의 발탁으로 전체적으로 보수 색채가 짙어졌다는 평가도 나온다. 황 후보자는 국가보안법 해설서를 직접 쓴 검찰 내의 대표적 공안통이다. 종북 세력에 대한 박 당선인의 단호한 입장이 반영된 인선이란 분석이다.

 이른바 ‘깜짝 인선’은 없었다. 대신 차관급 이상 해당 부처에서 20~30년씩 잔뼈가 굵은 전문가들이 대거 발탁됐다. 엘리트 관료들의 친정 복귀의 성격이 짙다. 박 당선인이 그동안 장관 인선 기준으로 강조해온 전문성과 업무 능력 등이 감안됐다는 평이다. 그런 만큼 ‘박근혜식 책임장관제’의 구현을 위한 포석이란 평가가 나온다.

 지역·학력별로는 수도권·명문고 출신이 많다는 것이 특징이다. 장관 후보자 6명 가운데는 서울 출신이 3명(서남수·윤병세·황교안), 인천 출신이 2명(유정복·유진룡)으로 총 5명을 차지했다. 나머지 한 지역은 영남(김병관 국방부 장관 후보자, 경남 김해) 출신이었다. 정홍원(경남 하동) 국무총리 후보자를 비롯해 지금까지 발표된 내각 인선에 호남 출신과 박 당선인의 고향인 대구·경북 출신은 한 명도 포함되지 않았다. 그래서 아직까진 ‘대탕평 인사’에 미흡하다는 지적도 있다.

 대학별로는 서울대 출신이 3명(윤병세·유진룡·서남수), 연세대(유정복), 성균관대(황교안), 육사(김병관) 출신이 각각 한 명씩 포함됐다. 성균관대 법대는 정홍원 총리 후보자를 비롯해 두 명의 각료 후보자를 배출했다.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날 공개되지 않았다. 북한 핵실험 문제가 인선 발표에도 영향을 줬지만 박 당선인이 염두에 둔 인사가 끝내 고사하면서 비서실 인선 발표 계획이 틀어졌다는 얘기도 나온다. 비서실장 인선이 늦춰지면서 청와대 수석들에 대한 발표도 연기됐다. 진영 인수위 부위원장은 비서실장 인선 발표 계획에 대해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했다. 역대 정부에서 비서실장 인선을 가장 늦게 한 대통령은 정부 출범 8일 전에야 박관용 비서실장을 임명했던 김영삼 전 대통령이다.

권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