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간디」내각과 한·인 관계|「실리」로 선수만 치면 승산-뉴델리=김영희 특파원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3면

「샤스트리」수상의 뜻밖의 죽음과 「인디라·간디] 여사의 수상 취임으로 한국의 외교는 당분간이나마 「집행유예」가 불가피하게 된 것 같다. 금년 초 외무부 당국자의 발설에서도 예고된 바와 같이 한국은 5·16이후 줄기차게 외쳐 온 대 중립국 적극외교, 대 AA강력외교의 구호를 금년부터는 실현 가능성 있는 목표로 구체화하기로 결정한 바 있다. 이 구체적인 대 중립국, 또는 대 AA 강력 외교 중에서도 중요한 몫을 차지하는 것이 대인외교였고 제1단계의 목표가 북괴에 앞질러 대사급의 외교관계를 수립하는 것임은 말 할 것도 없다.
한국은 그 동안 다같이 총 영사관을 두고 있던 통일「아랍」공화국에서의 대사관 설치를 북괴에 뺏겼고「인도네시아」에서도 같은 고배를 마셨다. 따라서 한국이 북괴도 총 영사관을 두고 있는「뉴델리」에 대사관을 설치하여 아직도「네루」의「후광」밑에 중립 국가군에서 지도적인 자리에 있는 인도와 정식 외교관계를 수립한다는 것은 앞으로의 AA 외교의 성패를 좌우할 만큼 중요한 일이다.
「뉴델리」에서의「외교 전」은 그래서 처음부터 치열하게 벌어졌다. 북괴 측은 지금 한국 측의 두 배가 넘는 10명의 총 영사관 직원과 많은 인도인 고용원을 거느리고 맹렬한 선전 공작을 벌이고 있다.
한국 측은 총 영사관 직원 임병직 대사까지 포함하여 모두 4명의 외교관뿐이지만 질적으로 북괴의「양」을 압도하고 있다는 게 이곳 언론인들의「관전평」이다.
62년 중·인 국경분쟁 때 한국은 박정희 대통령이『모든 수단을 다하여 인도를 지원하겠다』고「적시타」를 친데 반하여 북괴는 중공과의 관계 때문에 인도 측의「불법행위」를 규탄하였다.
그 때부터「뉴델린」에서의「전세」는 결정적으로 한국 측에 유리하게 기울어졌고「유엔」과「반등」회의 참가 문제 때도 인도는 한국의 입장을 지지하였다.
바로 이러한 시기에 들이닥친 것이 「샤스트리」의 죽음으로 인한 지도자의 교체다. 「샤스트리」의 대미 협조 정책에 바탕을 두고 전개되어 온 약2년 반 동안의 한국의 대인외교는 「모직의 성과」를 거두기 직전에 일단 걸음을 멈추고 우선「인디라·간디」노선의 향방을 살펴야 하게 됐다.
인도는 한국과의 외교관계 수립을 피하는 이유를 분단된 나라는 양쪽을 모두「정치적인 실체」로서 인정하기 때문이라고 변명한다.
그럼 왜 서독과는 외교관계를 수립했는가 고 추궁하면 인도가 문제삼는 분단국가란 54년「제네바」정치회담에서 논의가 된 나라를 말한다고 궁색한 발뺌을 한다.
그러나 사실은 뻔하다.
「양다리 외교」라고 핀잔 받는 인도의 중립주의는 현실주의 외교에 불과한 것이다.
「인디라·간디」여사라고 해서 식량위기로 나라 안이 죽 끓듯 하는 현실을 에누리할 수는 없는 일이다.
인도의 수상은 그 파의 좌우를 막론하고「실리」앞에는 약세가 되도록 운명지어져있다. 하나라도 인도에「플러스] 가 되는 길. 이 길이 바로 한국이 인도에 접근할 수 있는 방도이고 실지로 이 접근 방법은 상당히 구체화했었다.
65년도의 대 인교역에서 신용장 개설분까지 합쳐 수출 수입 각각 약 80만「달러」를 은퇸 한국이 요즘 유행하는 그 기술협조나 경제 협력 같은 실리적인 접근에 선수를 쓰면 승산은 있을 것으로 보인다..
뿐 아니라 이 나라는 한국이 연간 백만「달러」이상의 생사를 수출 할 수 있는「시장」 이기도 하고 보면 그 실리는 「호혜」로 직결되는 것이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