뻥~이요! 33년간 튀기기만 했어요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4면

“동일목재 한 켠에서 33년을 하다 6개월 전에 이 자리로 옮겼어요. 20년 전만 해도 잘 됐죠. 먹을 게 없었을 때니까. 요즘은 추수하느라 한창 바쁠 때라 사람이 덜해요. 근근이 먹고 살죠 뭐.”

뻥튀기 외길 인생을 살아온 김영선씨가 옛날식 기계 앞에서 뻥튀기를 만들고 있다.

‘쉭쉭’소리와 함께 가스불이 연신 무쇠를 달궜다. 옥수수 한 되를 넣고 10여 분 동안 돌던 무쇠 기계를 멈춘 후 가스불을 빼냈다. 뻥튀기 아저씨 김영선(63)씨의 움직임이 바빠졌다. 기다란 철망자루 대신 직접 제작한 나무 상자에 장구통처럼 생긴 기계의 주둥이를 살짝 들이밀고 긴 꼬챙이로 걸쇠를 젖힌다. ‘뻥!’ 하얗게 솟구쳐 오르는 연기와 함께 구수한 냄새가 진동한다. 나무상자 문을 열고 잘 튀겨진 강냉이를 빗자루로 쓸어 커다란 비닐봉지에 담고 묶는다.

김씨는 아산 온천 1동 농약사 골목에서 33년 동안 뻥튀기 일을 해 온 일명 ‘뻥튀기 아저씨’다. 크라운 제과에서 초창기에 밀쌀로 ‘죠리퐁’ 만드는 일을 하다가 아저씨뻘 되는 친척의 소개로 아산에 와서 자리 잡은 게 시작이었다. 동일목재 한 켠에 터를 잡고 이제껏 쭉 한 자리를 지키다가 올 해 건물이 지어지면서 6개월 전에 가게를 옮겼다. 소리 때문에 가게를 구하는 일이 쉽지 않았지만 오랜 단골들이 용케 가게를 다시 찾아와 주니 고마울 따름이다.

먹을거리가 풍족하지 않았던 시절 최고의 간식이었던 뻥튀기. 김씨는 쉴 틈 없이 기계를 돌리며 뻥, 뻥 소리를 내던 시절이 그립다고 했다. 두 배 세 배로 튀겨진 것은 비단 뻥튀기만이 아니었다. 뻥튀기 장사로 1남 2녀를 키워내고 시집, 장가를 보냈으니 말이다. 한 대로 시작했던 기계가 넉 대로 늘어났지만 요즘엔 간신히 두 대만 돌리고 있다. 예전에는 손으로 일일이 기계를 돌려야 했는데 요즘엔 그나마 자동이라 수월하다. 그렇지만 석유값이 여간 부담스러운 게 아니다.

“한 되 튀기는데 3000원이에요. 기계 두 대만 하루 종일 돌려도 벌이가 괜찮죠. 근데 손님이 없어도 무쇠는 계속 달궈야 하니까 밤에 문 닫을 때까지 가스불을 켜 놔야 돼요. 석유 값이 만만치 않아요.”

매일 불(火)과 씨름하는 일이라 위험할 때도 많다. 수시로 뜨겁게 달궈진 기계를 만져야 해서 목장갑은 두 겹으로 끼고 일을 하는데 하루에 한 켤레씩 버리게 된다. 달궈진 기계에 데이는 일은 부지기수고 압력이 잘못돼 스스로 터질 때면 가슴을 쓸어내려야 할 만큼 위험할 때도 있다.

추수를 마치고 한가해지는 농가의 겨울 간식으로 뻥튀기만한 게 있을까. 사계절 길을 오가다 가계 앞 노점에 튀겨 놓은 강냉이를 보고 사가는 손님도 많지만 그래도 뻥튀기 가게는 겨울과 봄이 성수기라고 한다. 여름에는 물 끓이는 데 넣으려고 강냉이와 보리를 볶아가는 손님이 대부분이다.

“밥만 못하고 다 해요. 튀길 수 있는 곡식은 다 되니까요. 요즘엔 몸에 좋은 차를 만든다고 특이한 것들도 많이 가져 옵니다. 연잎, 둥글레, 연근, 돼지감자도 차 끓여 드신다고 볶아 가요.”

음봉에서 고추 빻으러 나왔다가 들렀다는 김정자(73)씨는 올해 거둬들인 옥수수를 담은 봉지를 주섬주섬 꺼내 깡통에 쏟아 부었다. “여기 다닌 지 오래됐지. 이 아저씨가 제일 잘 튀겨. 맛있게 잘 나와.”

케첩통이었던 깡통에 가득 부으면 한 되(2㎏)가 된다. 가져 온 곡식이 한 되가 채 안 되면 다음에 오겠다며 다시 되돌아가는 손님이 있는가 하면, 종종 한 되 넘게 수북이 올리는 손님들과 악의없는 말다툼이 벌어지기도 한다. 모두 20~30년이 넘은 단골들이다.

“옛날에는 없는 사람이 하는 일이라고 괄시도 많이 당했지요. 하지만 배운 게 도둑질이라고 하는 데까지 계속 해야지요. 다른 일은 생각해 본적도 없어요.”

장갑을 고쳐 끼고 걸쇠를 만지작거리는 김씨의 손이 다시 부산하게 움직이기 시작했다. “자 귀 막으세요, 뻥이요!”

글·사진=홍정선 객원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