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해 학생 90%가 보복 두려워 말 안 해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3면

대다수 학교폭력 피해 학생들은 사실을 주위에 알리지 않는다. 보복이 두려워서다. 20일 자살한 대구의 권모(14·중2)군도 유서에 “부모님이나 선생님, 경찰 등에게 도움을 구하려 했지만 보복이 너무 두려웠다”고 적었다. 김건찬 학교폭력예방센터 사무총장은 “폭행을 당한 학생의 80~90%가 부모나 교사에게 말하지 않는다”며 “얘기해 봤자 자칫 ‘왕따’만 되고 또다시 보복을 당할 것이란 생각을 하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그럼 어떻게 해야 할까. 연세대 소아정신과 신의진 교수는 “폭력사건이 터질 때마다 가해자가 어떤 처벌을 받고 문제가 어떻게 해결되는지 명확히 보여줘야 학생들이 학교에 대한 신뢰를 가질 수 있다”고 지적했다. 신 교수는 또 “교사와 경찰, 친구들이 모두 피해 아이들의 편이라는 믿음이 있어야 폭력사건이 은폐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학교폭력의 정확한 실태조사도 필요하다는 지적이다. 그래야 제대로 된 대책마련이 가능하기 때문이다. 교과부가 25일 이주호 장관 주재회의에서 전국 학생을 대상으로 학교폭력 실태조사를 벌이기로 한 것도 그 연장선이다. 오승걸 학교문화과장은 “매년 3, 9월 두 차례에 걸쳐 모든 초·중·고가 학교폭력 피해조사를 실시할 계획”이라며 “전문상담사 1800명을 일선 학교에 배치해 학생 상담을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또 교과부는 상담 등 학생들의 학교생활을 지원하기 위해 2009년부터 운영 중인 전국 126개 위(WEE)센터(www.wee.go.kr)를 학교폭력전담센터로 지정키로 했다. 이 장관은 26일 오전 16개 시·도 부교육감들과의 간담회에서도 학교폭력 근절방안을 논의할 예정이다.

윤석만 기자

◆ 관련기사

▶ 자살 대구 중학생 어머니 "나도 교사지만 이런 폭력은 처음"
▶ 교사 부모 없는 틈 타 3개월간 권군 집에서…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