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게 10만원대 체인호텔? 깔끔하고 전망 좋네요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베니키아(BENIKEA)라는 이름의 관광호텔 체인이 있다. 한국관광공사가 만든 국내 최초의 중저가 호텔 브랜드로, 10만원 안팎에 투숙할 수 있는 전국의 호텔을 묶어 이태 전 출범했다. 합리적인 가격과 종업원의 서비스, 고객 만족도 등 관광공사의 엄정한 심사를 통과해야 베니키아 간판을 달 수 있다. 가격과 서비스에서 모두 합격점을 받아야 하는데 지금까지 전국의 특2급∼2급 관광호텔 44곳이 베니키아 체인에 들어왔다. 이 중에서 절반 가까운 19개가 1급 호텔이다. 지방 중저가 호텔 활성화라는 베니키아 사업의 의도가 여기서 드러난다. 이 중에서 지난 1월 베니키아 체인이 된 부산 송정관광호텔을 체험했다.

글·사진=이석희 기자

베니키아 호텔 체인 중 한 곳인 부산 해운대구의 송정관광호텔 디럭스룸 내부. 싱글과 더블 침대가 깔끔하게 정돈돼 있다. 오른쪽 사진은 송정관광호텔 외관.

# 가격 대비 높은 만족도

베니키아 호텔 체인 중 한 곳인 부산 해운대구의 송정관광호텔 디럭스룸 내부. 싱글과 더블 침대가 깔끔하게 정돈돼 있다. 오른쪽 사진은 송정관광호텔 외관.

부산 해운대구 송정 해수욕장 바로 앞에 있는 송정관광호텔은 무궁화 4개가 달려 있었다. 1급 호텔이다. 입구부터 깔끔했고, 말쑥하게 유니폼을 차려입은 프런트 직원은 친절했다. 가장 싼 방을 달라고 하니, 스탠더드룸을 소개했다. 세금 포함해 7만8000원(주말 9만8000원)이었다. 비수기 주중 기준 요금이다.

 원래 숙박시설은 첫인상이 중요하다. 객실 문을 열고 들어가니 ‘깨끗하다’는 생각이 절로 들었다. 가지런히 놓인 실내화, 잘 정돈된 싱글과 더블 침대, 깔끔하게 세탁된 수건, 깨끗하게 청소된 욕조와 비데 등등…. 그동안 갖고 있던 관광호텔에 대한 안 좋은 생각, 즉 ‘퀴퀴한 냄새에 왠지 바퀴벌레가 나올 것만 같다’는 선입관이 싹 사라졌다.

 이 방은 여름철 성수기에는 정상가인 17만원으로 가격이 껑충 뛴다고 한다. ‘꽤 비싼데’라는 생각이 스쳤지만, 성수기에는 해운대 인근 민박집도 방 한 칸이 부르는 게 값이란 걸 익히 알고 있어서 그리 나쁜 가격이라고는 할 수 없었다.

 호텔에는 객실이 모두 59개 있었다. 크기는 객실에 따라 다르지만 스탠더드룸 기준으로 20㎡(약 6평) 남짓했다. 일본 비즈니스 호텔보다 훨씬 넓어 두어 명이 이용해도 불편해 보이지 않았다. 객실에는 더블과 싱글 베드가 각각 한 개씩 놓여 있고, 화장대·미니바·티 테이블이 있었다. 미니바에는 생수 2개와 음료수 2개가 들어 있는데 공짜다. 그러나 아침은 사먹어야 했다. 주 이용 고객이 내국인이어서 갈비탕(1만원)·버섯전골(1만5000원) 등 한식이 준비되어 있었다.

 베니키아 체인 호텔의 장점 중 한 가지가 주변 경관이 좋다는 점이다. 베니키아 체인 호텔 대부분이 지역 유명 관광지에 위치해 있다. 송정관광호텔도 마찬가지였다. 전 객실에서 바다 조망이 가능했다. 디럭스급 이상 객실은 송정해수욕장을 정면에서 내려다볼 수 있게끔 설계돼 있었다.

 송정관광호텔 장진이 과장은 “베니키아 호텔 체인 이름을 달고 나서 시설도 개선했지만 가장 신경 쓴 부분은 역시 서비스”라며 “관광공사에서도 교육을 실시하지만 자체적으로도 직원들을 상대로 친절·서비스 교육을 수시로 진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호텔 측은 베니키아 호텔 체인이 된 뒤 10% 남짓 객실 판매율이 늘었다고 덧붙였다.

전국에 44곳 지정 … 회원 3만5000명

베니키아 호텔 체인(www.benikea.com)은 2009년 9월 출범했다. 영업 부진으로 허덕이는 전국 관광호텔의 수준을 높여 지방의 숙박시설 부족을 해결하기 위해 한국관광공사가 기획한 숙박 서비스 사업이다. 현재 베니키아로 지정된 호텔은 전국 44개. 이 중에서 3분의 2 이상이 지방에 있다.

 베니키아 예약사이트 회원 수는 3만5000명에 이른다. 지금까지 이 예약 사이트를 통해 판매된 객실은 1만1000건이 넘는다. 지난 한 해 5100여 건이었지만 올해는 이달 16일까지 6300건이 성사됐다. 이런 추세라면 지난해보다 예약률이 50%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호텔리어 교육, 경영자 워크숍 등 맞춤식 교육을 통해 철저히 관리한 덕분이다. 외국인 이용도 꾸준히 늘고 있다. 올해 판매된 객실 가운데 30% 정도를 외국인이 이용한 것으로 조사됐다. 홈페이지는 한국어를 비롯해 일본어·중국어·영어 등 4개 국어로 서비스되고 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