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테러 발생 확률 1%지만 성공 확률은 99%”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45호 06면

핵 안보라는 세 글자는 낯설다. 국제사회의 현안으로 떠올랐지만 아직 국내에선 생소한 개념이다. 핵 안보에 구멍이 뚫렸을 때의 파급력과 위험성을 쉽게 이해하기 위해 오명 KAIST 이사장에게 도움을 청했다. 그는 내년 서울 핵안보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 이명박 대통령에게 자문하는 현인그룹 멤버다. 현인그룹엔 헨리 키신저 전 미국 국무장관, 윌리엄 페리 전 미국 국방장관, 고촉통 전 싱가포르 총리, 한승주 전 외교부 장관 등 15명의 국내외 전문가가 참여한다. 다음은 오 이사장과의 일문일답.

서울핵안보정상회의 자문 맡은 오명 KAIST 이사장 인터뷰

-핵테러나 핵물질 탈취에 대해 관심 가져야 하는 이유를 쉽게 설명해 달라.
“핵테러는 테러의 종합판이다. 일시에 전 세계적 공포를 일으킬 수 있다. 일어날 확률은 1% 미만이지만 성공률은 99%에 달하는 엄청난 파급력을 갖는다. 테러범의 입장에선 핵물질만 손에 넣는다면 가장 쉽고도 위협적인 형태의 테러가 될 수 있다. 실제로 핵물질 탈취와 불법 거래 건수는 우리 생각보다 실제로 많다. 핵테러를 더 이상 가상이 아닌 실제적 위협으로 인식해야 한다.”

-핵물질 탈취 과정은.
“고농축우라늄 25㎏ 정도만 있으면 기본적 수준의 핵무기 제조가 가능하다. 이미 1987년, 미국 핵무기 전문가들을 모아 테러리스트가 핵물질을 확보했다고 가정하고 제조 가능 여부를 검토하도록 했다. 3~5명의 물리·화학 전문가를 고용만 하면 초보적 수준의 핵무기를 만드는 데는 전혀 문제가 없다는 결론이 나왔다.”

-다른 방식과 비교해 핵테러의 위험성은.
“도시 한복판에 핵무기가 하나 터진다고 가정하자. 그 피해는 수십만 명에 달한다. 그 도시뿐 아니라 세계적으로 정치·경제·사회·문화 모든 면에서 파급력이 클 것이다. 상호의존이 심화된 시대에 핵테러는 한 국가만의 문제가 아니다. 그 피해는 국경을 초월한다. 어느 한 국가만의 통제로는 막기 어렵다. 핵안보정상회의를 위해 50여 개국의 정상이 서울에 모여드는 이유다.”

-북한 관련 핵테러 위험성은.
“핵안보정상회의는 테러리스트와 같은 비(非)국가 행위자에 의한 핵테러 방지가 목표이고, 북한과 같은 특정 국가의 문제는 논의 대상에서 제외된다. 그러나 주요 정상들이 한반도에 모여 국제 안보 현안을 논의한다는 사실만으로 큰 메시지가 될 것이라고 본다.”

-한국의 핵테러 대비 태세에 대한 평가는.
“한국도 1995년 ‘원자력법’을 개정해 원자력시설 및 핵물질 운송에 대한 물리적 방호조치를 보강했다. 2004년엔 ‘방호방재법’ 제정을 통해 원자력시설 및 핵물질에 대한 심사제도를 도입했고, 2006년엔 원자력통제기술원도 설립했다. 그러나 핵 안보는 한 국가만이 아니라 세계 각국이 협력해야 효과적으로 막을 수 있다. 2010년 워싱턴 핵안보정상회의가 주의를 환기시켰다면 내년 서울 핵안보정상회의는 핵안보 논의의 지평을 확대하고 규범을 단단히 만들어 갈 토대가 될 것이라고 기대한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