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지구촌 건강] 우울증 환자 분노를 표현 못하는 까닭 “뇌 회로의 문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06면

우울증 환자가 내성적이거나 비사교적인 행동을 보이는 것은 사람을 싫어하기보다 증오와 관련된 뇌 영역의 이상 때문이라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워릭대 지안펭 펭 교수 팀은 39명의 우울증 환자와 일반인 37명의 뇌를 기능적 자기공명영상장치(fMRI·뇌의 활성화를 영상으로 표현함)로 찍어 비교했다.

 그 결과, 우울증 환자의 대다수는 증오 관련 뇌 영역의 뉴런(신경회로)이 제대로 연결되지 않아 혐오스러운 감정을 잘 처리하지 못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다시 말해 정상인은 화가 날 때 증오 회로가 활성화돼 분노를 발산하지만 우울증 환자는 그렇지 못해 속으로 삭히는 행동을 취한다는 것이다.

 피각과 섬엽으로 구성된 증오 회로는 두려움·증오의 감정을 처리할 뿐 아니라 동시에 사랑의 감정을 전달하기도 한다. 피각은 애정을 느낄 때 의욕적인 활동을 취하게끔 하면서 미워하는 감정에 반응하고, 섬엽은 뇌의 고통 부위와 관련돼 있다. 두 부위 모두 증오하거나 싫어하는 사람의 얼굴을 볼 때 활성화하는 특징을 지닌다.

 우울증 환자는 감정을 처리하는 다른 부위에서도 정상인보다 뇌 활성도가 떨어졌다. 전체 우울증 환자의 92%가 위험 및 행동 부위에서, 또 82%는 감정·보상 부위에서 뇌 활동의 이상을 보였다. 연구진은 우울증 환자가 일반 사람처럼 분노나 증오 앞에서 적절히 대처하지 못하는 데는 이들 영역의 영향이 크다고 설명했다.

 지안펭 펭 교수는 “이번 연구는 우울증 환자들이 자기혐오에 쉽게 빠지는 이유를 뇌 회로의 이상에서 찾아낸 데 의미가 있다”며 “우울증 치료를 위해 증오 회로와 같은 뇌의 특정 영역을 집중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고려대 안암병원 정신과 함병주 교수는 “우울증 환자가 분노를 제대로 표출하지 못한다는 연구들이 있어 왔지만 이 연구 논문은 뇌 활동 측면에서 분석했다는 점에 의의가 있다”고 말했다. 우울증을 심리학적 연구에서 뇌 과학 쪽으로 풀어낸 새로운 시도라고 봐도 된다는 것.

 한편 연구진은 우울증 환자와 ‘거울 뉴런’과의 상관관계도 밝혀냈다. 거울 뉴런은 상대방의 행동을 보거나 관찰할 때 다른 이의 행동을 직접하고 있는 것처럼 느끼게 하는 신경세포다. 우울증 환자는 거울 뉴런 회로의 이상으로 다른 사람과 괴리감을 느낄 뿐 아니라 사랑하는 사람과 교감하기 어려운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연구 결과는 국제 학술지인 『분자 정신분석학』최신호에 게재됐다.

김슬기 인턴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