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전기안전 사고 예방시스템에 초점 … 취약계층 ‘에너지 복지책’도 실천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07면

지난 1일 취임한 박철곤 전기안전공사 사장(오른쪽)이 안전검사 현장에 나가 검사 직원 을 격려하고, 현장을 둘러보고 있다. [전기안전공사 제공]

“사고나서 원인 진단하는 데 골몰하지 말고 사전 예방시스템 구축에 힘써야 합니다.”

지난 1일 취임한 박철곤 한국전기안전공사 신임 사장은 줄곧 예방중심의 신(新)전기안전관리시스템 구축을 강조하고 있다.

과거 산업화 시절에는 전기 수요에 맞춰 공급하는 데 급급해 시설이 마련된 뒤에야 안전관리나 안전 관련 제도가 뒤따랐다.

하지만 태양열과 같은 신재생에너지와 스마트그리드, 전력정보기술(IT) 시스템 등을 통해 국가의 에너지 운영 패러다임이 바뀌고 있는 만큼 이번에는 구축과정에 선제적으로 안전 관리 시스템을 접목시키자는 것이다.

마치 건강보험공단이 사후 치료보다는 정기검진을 통한 예방과 관리로 국민건강 관리의 초점을 옮기는 것과 같은 이치다. 그래야 에너지 효율도 높이고 사고예방도 더 잘할 수 있다는 게 박 사장의 지론이다.

박 사장이 또 한가지 강조하는 것이 에너지 복지다. 한전이나 가스공사 같은 에너지 생산과 판매 업체라면 에너지 복지라는 개념이 비교적 선명하게 들어온다.

수요는 있지만 돈이 없는 대상에게 무상 또는 저렴하게 에너지를 공급하면 된다. 전기안전공사도 비슷한 에너지복지를 실천하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취약계층의 주거용 전기설비에서 정전·누전 등의 전기고장이 발생하면 긴급출동해 조치하는 ‘스피드 콜’ 제도다. 공사에서는 이 제도를 ‘전기 119’라고 부른다. 가정에서 화재 등 응급상황이 발생하면 찾는 게 ‘119’다. 정전이나 전기고장이 나면 한전을 찾지만 한전은 옥외 전기시설만 관할한다. 결국 옥내 전기시설은 전기 소비자의 부담으로 해결해야 하는데 비용이 만만치 않다.

취약계층의 옥내 전기 문제를 해결해주자는 게 ‘스피드 콜’을 만든 취지다. 지난해에만 6만9000번이나 스피드 콜을 받고 출동했다.

공사는 한국형 전기안전 관리모델을 개발해 수출한다는 계획도 세웠다. 개도국 등에 선진국 기업들이 진출해 산업 인프라를 구축하는 경우는 많지만 막상 그들이 떠나면 유지관리에 애를 먹는 경우가 많다. 국내 전기안전 분야의 기술도 처음에는 수입해온 것이지만 이제 우리 것으로 소화한 수준을 넘어 국제경쟁력을 갖춘 만큼 개도국에 전파하겠다는 것이다.

박 사장은 “선진 기술을 들여와 우리 것으로 만든 소중한 경험과 기술을 개도국에 전파해 안전에 관한 한류를 일으켜보겠다”고 경영의지를 밝혔다.

최현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