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감시 안 되면 식량 지원도 없다는 게 우리의 원칙”

중앙선데이

입력

지면보기

218호 03면

유엔 산하 세계식량계획(WFP)의 이탈리아 로마본부 프랜시스 케네디(사진) 공보관은 북한에 식량을 지원해 줘도 배분 과정에 문제가 없게끔 WFP가 모니터링을 강화했다고 인터뷰에서 강조했다. 다음은 일문일답.

세계식량계획 프랜시스 케네디 공보관

-북한에 식량을 지원하려 해도 감시를 못해 의혹이 끊이지 않는데 문제 아닌가.
“지난 15년간 WFP는 북한에서 식량 지원 활동을 해 왔는데 이번에 가장 엄격한 수준의 모니터링 조건을 확보했다. 한국어를 구사하는 직원들, 자유로운 인터넷 접속, 신속한 모니터링 같은 것들이 들어 있다. 우리는 15년간의 경험뿐 아니라 새롭게 모은 정보들, 대북 지원을 했던 다른 나라와의 경험을 모두 이용해 엄격한 모니터링을 하려 한다. 감시가 안되면 식량도 없다(No access, No food)가 우리의 원칙이다.”

-모니터링할 땐 식량을 줬다 가고 나면 거둔다는 증언도 있다.
“WFP는 북에 식량이 들어갈 때부터 수혜자들에게 닿는 마지막 순간까지 모든 과정을 모니터링한다. 아동기관부터 소아병동과 각 가정까지 곳곳을 다 방문한다. 그리고 지금까지 북한 주민들이 배급받은 식량을 빼앗기는 현상을 관찰한 바 없다.”

-WFP는 북한의 식량 사정을 어떻게 조사하나. 북한이 WFP에 보고한 식량 생산량과 주민 보급량에 차이가 난다는 지적이 있다.
“지난 1월 (북한) 정부로부터 지원 요청을 받은 뒤 우리는 식량농업기구(FAO)·유엔아동기금(UNICEF)과 함께 긴급 식량안보 평가임무 특별보고서를 냈다. 주민 집 122곳, 병원, 아동기관 같은 곳을 일일이 방문한 뒤 작성한 것이다. 우리는 현지에서 (북한)주민들의 식량 수급사정이 더욱 불안정해졌음을 발견했다.”

-긴급지원하는 31만t의 규모는 어떻게 결정됐나.
“우리가 지난달 29일 이 계획을 발표했는데 1년간 350만 주민에게 주어지는 배급의 구성과 필요한 영양을 따져서 산출했다. 2억 900만 달러 규모다.”

-천안함 침몰과 연평도 포격 도발을 겪은 한국이 북한에 식량 지원을 할 수 있겠나.
“배고픔은 (인류의) 가장 기본적인 문제 아닌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에서도 마찬가지다. 우리가 그곳에서 일하는 것도 그 때문이다.”

-미국국제개발처(USAID) 등 미국과의 협력 현황 및 전망은.
“우리는 어린이·여성·노인과 같이 가장 취약한 이들의 인도주의적인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세계 전역의 지원자들의 도움을 구해 왔다. 현재로선 이렇게만 답하겠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