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구 상하한선 획정위서 결정

중앙일보

입력

여야는 19일 앞으로 구성될 선거구획정위가 선거구 인구 상하한선을 자체적으로 정해 합리적이고 객관적인 기준에 따라 지역 선거구를 결정토록 백지 위임키로 했다.

여야는 이날 국회에서 3당 총무회담을 열어 4개 도.농 통합지역구의 분구 예외인정 등으로 논란을 빚은 선거구의 재조정 임무를 맡게 될 선거구획정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문제를 집중 논의, 이같이 합의했다.

3당 총무들은 회담에서 모두 7명으로 구성되는 획정위의 정당 몫 3명을 금명간 확정키로 하고 민간인 대표 4명을 선정하기 위해 '2000 총선시민연대'(시민단체)
, 한국정치학회(학계)
, 신문방송편집인협회(언론계)
, 대한변호사협회(법조계)
등 4개 단체에 21일까지 분야별 후보를 3배수씩 추천해 줄 것을 요구키로 했다.

정당 몫 3명으로는 국민회의 이상수(李相洙)
, 자민련 김학원(金學元)
, 한나라당 변정일(邊精一)
의원 등 국회 정치개혁입법특위에서 활동했던 의원 3명이 결정된 것으로 알려졌다.

3당 총무는 또 획정위의 원활한 활동을 위해 획정위 산하에 행정자치위 수석전문위원을 단장으로 하는 7인 실무지원단을 두고 실무위원으로 국회 사무처, 선관위, 행정자치부, 각 당 전문위원 각 1인씩을 참여시키기로 했다.

여야는 그러나 획정위의 의결방식에 대해서는 3분의2 이상을 주장하는 여당측 입장과 전원합의제를 주장하는 야당측 입장이 맞서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

여야는 또 시민단체의 선거운동 금지를 규정한 선거법 87조에 대한 개폐문제를 공개적으로 논의하기 위해 3당 대표와 시민단체 대표가 참여하는 긴급토론회를 오는 21일 국회에서 개최키로 했다.

국민회의 박상천(朴相千)
총무는 '인구 상하한선 등 선거구획정기준은 획정위가 알아서 하도록 하고 정치권에서 일절 지침을 주지 않기로 합의했다'면서 '하지만 의원정수 문제는 획정위의 결정범위를 벗어나는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한나라당 이부영(李富榮)
총무는 '획정위에서 선거구를 확정, 지역구 의원수를 결정하면 비례대표 숫자를 몇 명으로 정할 지에 대해서는 여야간 별도로 논의할 것'이라면서 '이 과정에서 의원정수가 최종 결정될 것'이라고 밝혔다.

획정위는 오는 21일부터 가동을 시작, 27일 1주일간의 활동종료와 함께 선거구 획정안을 국회의장에게 제출하게 된다.[서울=연합]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