후진타오, 북 UEP 우려한다 해놓고 …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10면

10일 중국을 방문한 위성락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베이징 서우두(首都) 공항에서 기자들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 위 본부장은 우다웨이 중국 한반도문제특별대표 등과 만난 뒤 11일 오후 귀국했다. [베이징 로이터=뉴시스]


천안함과 연평도 사건에 대해 사과를 해야 6자회담을 재개할 수 있다는 한국 정부의 입장을 중국이 지지하지 않는 것으로 밝혀졌다.

 특히 중국은 북한의 우라늄농축프로그램(UEP)에 대해 지난달 열린 미·중 정상회담 직후 발표한 공동성명에서 “‘북한이 주장한 UEP’에 대해 우려한다”고 했으나 UEP의 실체에 대해 여전히 확인하려는 노력을 기울이지 않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의 외교 소식통은 11일 6자회담 재개 방안에 대해 “한국은 남북대화와 미·북 대화를 통해 북한의 진정성을 확인해야 6자회담을 할 수 있다는 입장”이라면서 “반면 중국은 남북대화와 미·북 대화까지는 입장이 같지만 북한의 진정성을 확인해야 한다는 입장에 대해서는 적극 지지하지 않는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또 “중국은 과거에 미·북 대화→6자 예비회담→6자 본회담으로 이어지는 3단계 해법을 제안했지만 최근에는 예비회담 단계는 일절 언급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6자회담 재개를 위한 전제조건을 놓고 한·중 정부의 입장 차이가 크다는 의미다. 이에 따라 2008년 12월 이후 2년 이상 공전해 온 6자회담이 재개되기 위해선 남북한 대화뿐 아니라 한·중 간 이견 조정이 필요하다는 지적이 나왔다.

 이 소식통은 북한의 우라늄농축프로그램과 관련해 “중국이 북한 UEP의 실체 여부에 대해 사실관계 확인을 아직 하지 않은 것 같다”고 말했다. 그는 “UEP 확인을 위해 중국이 북한과 별도 접촉을 했는지, 진전이 있는지 불확실하다”고 덧붙였다. 이어 중국 측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에서 UEP 문제를 풀자는 한국 정부의 요구에 대해 “6자회담에서 모든 문제를 다루자”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다고 이 소식통은 전했다. 지난달 미·중 회담에서 후진타오(胡錦濤·호금도) 주석이 ‘북한이 주장한’이란 전제를 달아 “UEP에 우려한다(concern)”고 천명했지만 유엔 안보리에서 이 문제를 처리하는 데 여전히 소극적이라는 것이다.

 한편 위성락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은 1박2일간의 중국 방문을 마치고 11일 귀국했다. 위 본부장은 전날 우다웨이(武大偉·무대위) 중국 한반도문제특별대표와 장시간 면담한 데 이어 이날 장즈쥔(張志軍·장지군) 외교부 상무 부부장(차관), 류제이(劉結一·유결일) 중국공산당 대외연락부 부부장을 잇따라 접촉했다.

 위 본부장은 중국 측에 8∼9일 판문점에서 열린 남북 군사실무회담의 자세한 상황을 설명했으며, 중국 측은 어려움이 있더라도 남북대화를 계속해 성과를 거두기 바란다고 말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