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임]임신을 위한 한약 언제 복용하는 것이 좋을까요?

온라인 중앙일보

입력

결혼후 정상적인 부부 생활을 할 경우에 6개월 이내에 60% 이상이 임신을 성공하게 됩니다. 6개월이 지나도 소식이 없는 경우라면 그냥 방치할 경우 1년이 지나도 임신이 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

결혼후 1년이 지나도 임신이 되지 않은 부부가 1년부터 1년 6개월 사이의 임신 확률은 5% 미만이기 때문에, 마냥 세월만 기다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결혼을 한후 6개월 정도 지나도 임신이 되지 않으면, 그때부터는 적극적으로 임신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는 것이 좋다.

여성의 연령이 30대가 넘었거나, 임신이 잘 되기 어려운 자궁환경을 가졌다든지, 유산의 경험이 한번 이상 있는 경우라면, 착상이 어려워질 수가 있다. 특히 연령이 중요한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여성의 나이가 30세가 넘어가게 되면 불임률이 급격히 높아지기 때문이다.


임신을 위한 한약은 결혼 후 정상적인 부부생활을 하였는데도 6개월이 지나도 소식이 없다든지, 혹은 고령임신이나, 자궁근종 혹은 자궁내막증 등의 다양한 자궁질환이 있거나, 임신을 방해받을 수 있는 여성질환이 있는 경우라면, 한의학의 도움을 받을 필요가 있다.

착상이 잘 되지 않아서 임신이 되지 않은 경우라면, 수정에는 별문제가 없는 경우들이 많다. 배란이 규칙적으로 잘 되고 있는 여성이라면, 굳이 배란보다는 자궁의 착상에 초점을 맞추어 치료를 집중하기를 권한다.

구조적으로 문제가 되어서 임신이 되지않는 심각한 불임은 전체 불임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그리 높지 않다. 결혼 연령이 늦어지다보니 어쩔수 없이 임신을 준비하는 나이가 늦어졌을 뿐이다.

30대가 넘어서 임신이 빨리 되지 않는다면, 한번 자궁의 착상력이 어떨까 고민해기 바라며, 논밭 역할을 하는 자궁을 먼저 한번 생각하길 바란다.

임신! 원인을 알면 길이 보인다!

<본 자료는 정보제공을 위한 보도 자료입니다.>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