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추 전쟁’ 느닷없이 4대 강 싸움으로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여야가 근래 국정감사장 안팎에서 거칠게 맞붙은 주제가 배추 값 폭등이 4대 강 사업과 관련이 있느냐 여부다. ‘배추전쟁’이란 비유까지 나오는 상황에서 야당은 “연관이 있다”고 주장한다. 박지원 원내대표는 5일 “4대 강 사업으로 결국 채소밭 5.69%가 감소하고 시설채소 면적은 16.4% 줄어드는 것으로 분석됐다”고 말했다. 4대 강 사업으로 인해 하천 둔치의 경작지가 줄어 채소 값이 폭등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한나라당 고흥길 정책위의장은 “4대 강 사업과 배추 값은 무관하다”고 말했다. 민주당이 준설로 인해 줄어든 농지(1만550㏊)를 모두 채소 경작지로 계산했지만 실제로 줄어든 채소 경작지는 3662㏊로, 전체 채소 경작지의 1.4%에 불과하다는 게 정부·여당의 주장이다. 배추의 경우엔 경작지 감소분이 더 작아 0.3%밖에 되지 않는다고 여당은 강조한다. 한나라당은 “현재 나오는 배추는 고랭지산”이라며 “해발 400m 이상인 강원도 평창·홍천·정선·태백·삼척과 지리산 일대가 주산지인 이곳이 4대 강 유역과 무슨 관계가 있느냐”고 묻는다.

한나라당이 ‘배추 값 폭등이 4대 강 사업 탓’이란 주장에 맞서고 있지만 농림수산식품부에 대해선 불만이 많다. 김무성 원내대표는 “시의적절한 대책을 내놓지 못한 것은 큰 잘못”이라고 질타했다.

고정애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