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타운 공공시설 들어서는 건물주에 재개발 아파트 분양권 준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9면

서울 강북 뉴타운 개발 세부계획이 속속 윤곽을 드러내고 있다.

서울시는 2006년까지 주거중심형으로 조성할 예정인 성북구 '길음 뉴타운' 개발사업과 관련해 "원주민 정착 비율을 높이기 위해 공공시설 용지에 편입되는 재개발 구역 이외 지역의 건물 소유주에게도 권역 내 재개발 아파트 우선 분양권을 주는 방안을 추진 중"이라고 4일 밝혔다.

시는 '도시 및 주거환경 정비법'과 '주택공급에 관한 규칙'을 개정해 이 같은 내용을 담을 수 있도록 건설교통부와 협의할 방침이다.

그동안 재개발 구역이 아닌 지역의 건물 소유주는 건물이 도시기반시설로 수용당할 경우 서울시내 시영아파트 우선 분양권을 받을 수 있었다.

하지만 인근에 시영아파트가 없을 경우 거주지를 먼 곳으로 옮겨야 하는 데다 인기 있는 지역의 시영아파트는 경쟁자가 많아 입주하기 힘든 경우가 많았다.

시가 길음동 624번지 일대 95만㎡에 조성하는 길음 뉴타운은 8개 재개발구역 50만7천㎡와 일반지역 44만3천㎡로 이뤄져 있다. 시는 도시개발공사에 용역을 의뢰, 내년 6월까지 이 지역에 도로 네 곳을 신설·확장하고 학교 두 곳과 공원 두 곳을 새로 조성하는 개발계획을 수립할 방침이다.

또 시는 길음 뉴타운 지역 투기로 사업비가 증가할 것으로 우려됨에 따라 ▶원주민 경제능력에 맞는 소규모 주택 건설 유도 ▶세입자에 대한 권역 내 재개발 임대아파트 우선 공급 ▶투기과열 우려 때 거래동향 세무서 통보 등의 대책을 마련했다.

이와 함께 시는 은평구 진관내·외동과 구파발동 일대 '은평 뉴타운'은 2010년까지 환경친화적인 뉴타운으로 조성할 계획이다.

시는 내년 6월까지 이 지역 도시개발계획을 수립하면서 ▶녹지 복원과 공원녹지 확보 ▶실개천과 연못·생태공원 등 생물서식 공간 확보 ▶경관을 고려한 건축물 배치 ▶아스팔트 포장 최소화를 통한 토양기능 회복 등 환경 생태계획을 우선 마련키로 했다.

한편 경실련과 환경운동연합은 4일 오후 서울시청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강북 뉴타운 개발계획은 규모나 정도에 있어 서울시 전역에 막대한 파급효과를 미칠 사업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사전검토나 시민 의견수렴 없이 결정돼 우려를 낳고 있다"며 "졸속 사업추진 계획을 즉각 중단하라"고 요구했다.

이지영 기자

jylee@joongang.co.kr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