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3.사라지는생물종:어떤 동식물이 사라지고 있을까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25면

미국은 1991년 화성 식민지 건설 실험을 한다는 계획에 따라 애리조나주에 유리로 밀폐된 1만3천여㎡의 '미니 지구(바이오스피어)'를 만들었다.

이 곳에 8명의 과학자들이 들어가 농사를 짓고 살았는데, 18개월 만에 심각한 위기가 닥쳤다. 산소가 점점 희박해져 25종의 동물 가운데 19종이 멸종하고,사람도 호흡 곤란에 빠진 것이다. 토양 속 박테리아가 산소를 많이 소비한 탓이었다.

이 실험은 하찮은 박테리아가 대기와 생태계의 균형에 관여하며, 인간을 포함해 지구상의 모든 생명이 상호 의존하는 가운데 살아가고 있음을 입증했다.

지구상의 생물종은 5백만~3천만종에 이를 것으로 추정된다. 지금까지 알려진 것은 1백70만종 정도다. 그러나 개발과 오염으로 해마다 2만5천~5만종이 사라지고 있다. 이런 속도라면 앞으로 20~30년 안에 전체의 25%가 멸종할 것으로 과학자들은 전망한다.

90년대 중반 국제자연보호연합(IUCN)은 다양한 야생동물군의 일부가 멸종 위기에 처해 있음을 알리는 보고서를 냈다. 보고서엔 어류 34%, 포유류와 양서류 25%, 파충류 20%, 관다발식물 12.5%, 조류 11%가 각각 사라질 위기에 처한 것으로 나타나 있다.

생물이 줄어드는 가장 큰 원인은 삼림 남벌과 개발 등으로 인한 서식지 파괴다. 농약·비료·공장폐수·생활하수에 의한 수질오염과 토양오염, 밀렵 등도 이에 뒤지지 않는다. 유엔식량농업기구(FAO)의 '삼림자원 평가 2000'에 따르면 지난 10년 동안 적어도 2.2% 이상의 삼림이 감소했다.

세계산호초감시네트워크(GCRMN)에 따르면 육지의 삼림 같은 기능을 하는 산호초도 지구온난화로 바닷물 온도가 올라가 92년에 전체의 10%가 죽은 데 이어 지금까지 27%가 감소했다. 산호초 지역에서는 개발도상국 어획량의 4분의1이 나온다.

세계자원연구소(WRI)와 유엔환경계획(UNEP)의 보고서가 밝힌 우리나라의 생물다양성은 1백55개국 가운데 1백31위, 최빈국으로 돼 있다. 국내총생산(GDP)을 늘리는데 매달리는 동안 생명에 대한 감성이 메마른 탓일까.

◇생각 키우기

①생물 보호에 관한 포스터나 표어를 만든다. 신문 광고를 패러디해도 좋다.

②표를 보고 우리나라에서 멸종 위기에 처한 야생 동식물과 그 원인, 모습(사진)·먹이·습성 등을 살펴보자. 학급원들이 각자 한 가지씩 조사해 종합하면 쉽다.

③맹꽁이는 환경에 민감해 반딧불이처럼 환경지수 동물로 꼽는다. 과거엔 수가 많았으나 화학비료와 제초제를 견디지 못해 그 수가 줄자 정부는 99년 보호 동물로 지정했다.

6~7명씩 모둠을 지어 주변에서 개체수가 예전에는 많았지만 급격히 감소하는 동식물 사례를 신문에서 한 가지만 조사한다. 그 다음 보고서(주제/조사하는 사람/조사 기간/하게 된 까닭/조사한 것/알고 싶은 점/조사 방법/내용/결과/느낀 점/해결 방법 등)를 작성해 발표한다.

실제로 주변 숲이나 하천에 나가 생태환경을 관찰한 뒤 보고서를 쓰는 것도 수행평가 과제로 권할 만하다.

④인간 때문에 멸종한 생물이 헤아릴 수 없이 많지만 이를 되살리려는 노력도 크다. 신문에서 이러한 사례를 한 가지만 찾아 스크랩한 뒤 생물종을 보존하기 위해 해야 할 일을 그 밑에 적는다.

☞새 집을 만들어 준다/하천·습지를 오염시키거나 훼손하지 않는다/동물을 밀렵하지 않는다/야생식물의 서식지를 잘 보전한다/모피옷이나 동물 약재를 사지 않는다/철새의 서식처에 먹이를 준다/생물자원 보호를 위한 국제협약을 준수한다/삼림 절개시 동물의 이동권을 보장해 주는 생태다리를 설치한다 등.

⑤생물종을 보존하기 위해서는 하천의 복원도 필요하다. 그 이유는 뭘까?

☞하천과 그 주변에 자연적으로 만들어진 습지는 식물이 살 수 있는 공간이 되며, 물 속의 식물은 물고기의 서식지가 된다.

⑥바다 오염과 해양생태계의 악화는 가장 심각한 지구촌 환경문제 중의 하나다.

우리나라 환경운동연합 부설 시민환경연구소가 선정하고 세계적인 환경단체인 '지구의 벗 국제본부'가 공식 입장으로 채택해 지구정상회의 때 발표한 '리우회의 이후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해치는 1백1 가지 사례'에서 바다를 오염시킨 대표적 사례들을 찾아 정리한다.

⑦람사협약(www.ramsar.org)은 세계적으로 중요한 습지의 파괴를 억제하고, 물새가 서식하는 습지대를 국제적으로 보호하기 위해 71년 이란의 람사에서 채택한 국제협약이다.

이밖에 '생물다양성협약' 등 생물종을 보존하려고 체결한 국제협약을 세 가지만 더 알아보자.

⑧95년부터 1년간 일본 NHK 위성방송을 통해 방영된 다큐멘터리 '20세기 생물의 묵시록'을 책으로 옮긴 『지구에서 사라진 동물들』 (2000·도요새)은 바바리사자·카스피호랑이·아라비아타조·해변밍크 등 멸종된 동물 91종에 대한 기록이다.

생태환경 서적을 한 권 읽고 동식물과 인간들이 어떤 관련성 아래 살고 있는지, 생물 보호를 위해 우리는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를 생각해 감상문을 쓴다.

이태종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