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온난화 비상 : 세계 곳곳 섬들이 물에 잠긴다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2면

지구환경 보호와 산업발전의 공존을 모색하는 '지속가능발전을 위한 세계정상회의'가 26일부터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 열린다. 1992년 브라질의 리우데자네이루에서 열린 환경정상회의에서 지구촌에 닥칠 환경재앙을 예방하기 위해 노력하자고 합의한 지 10년 만에 다시 열리는 회의다. ▶지구온난화▶수자원 고갈▶삼림파괴·사막화 등 이번 회의에서 논의될 주요 의제들을 차례로 짚어가며 지구환경의 현주소를 점검해 본다.

편집자

적도와 날짜변경선이 만나는 곳에서 멀지 않은 섬나라 투발루. 이 나라 국민 1만1천여명이 모두 '환경 난민'이 될 위기에 처해 있다. 섬 전체의 평균 해발고도는 1.5m에 불과한데 바닷물의 수위가 1998년부터 매년 6~8㎝씩 높아지고 있기 때문이다. 투발루 사람들의 마지막 선택은 섬을 버리고 이웃 나라로 피난가는 것밖에 없다.

<관계기사 9,13면>

키리바시 등 남태평양의 이웃 나라들이나 인도양의 몰디브도 똑같은 상황이다. 학자들은 "지금보다 해수면이 최고 88㎝가 높아질 21세기 후반에는 네덜란드처럼 해발고도가 낮은 연안국들도 위험에 직면할 것"이라고 경고하고 있다. 해수면 상승은 지구의 온도가 올라가 남극과 북극의 빙산이 녹아내린 결과다.

18일 독일의 베를린에선 사상 초유의 '홍수 정상회담'이 열렸다. 1천만명이 넘는 이재민을 낸 대홍수의 복구대책과 향후 예방책을 논의한 이 회의에서 중부 유럽 4개국 정상들은 이번 홍수를 비롯한 기상이변이 환경파괴의 결과란 사실을 뼈아프게 되새겨야만 했다.

게르하르트 슈뢰더 독일 총리를 비롯한 유럽 지도자들은 이번 홍수를 계기로 미국 성토에 더욱 열을 올리고 있다. 미국이 지난해 교토(京都)의정서에서 일방적으로 탈퇴를 선언함으로써 지구온난화의 주범인 온실가스 배출을 막기 위한 국제적 노력에 찬물을 끼얹었다는 판단 때문이다.

오는 26일부터 열리는 지속가능발전 회의에서 온난화는 가장 중요한 의제다. 그러나 회의 결과에 대해선 벌써부터 비관론이 우세하다. 10년 전 리우 환경회의의 결과물로 탄생한 교토의정서가 발효조차 못한 상황이기 때문이다. 선진 각국은 온실가스 배출량을 의무적으로 평균 5.2%씩 줄이기로 97년 합의했지만 자국산업 보호 논리에 밀려 실천은 기약 없이 미뤄지고 있다.

국제사회가 10년 동안 말만 앞세우고 아무런 실천 방안을 마련하지 못한 사이 온실가스 배출량은 계속 늘어나고 지구는 갈수록 더워지고 있다.

예영준·정효식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