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軍, 팔 예닌서 '대학살'논란

중앙일보

입력

지면보기

종합 08면

"예닌에서의 이스라엘 공격은 학살이다."

시몬 페레스 이스라엘 외무장관이 이스라엘군의 팔레스타인 난민촌 예닌에 대한 군사작전을 지난 9일 '학살'로 규정해 파문이 일고 있다. 이스라엘군 관계자도 "예닌의 진상이 세계에 알려지면 이스라엘은 감당할 수 없는 피해를 볼 것"이라는 말을 했다고 외신은 전하고 있다. 이스라엘이 예닌에서 '안보라는 이름의 대학살'을 자행했는지 논란거리로 등장하고 있다.

◇비참한 예닌=파이낸셜 타임스는 10일 현지발 기사에서 "탱크와 장갑차, 불도저를 앞세운 이스라엘군이 9일 아파치 헬기 7대의 호위 아래 예닌에 폭탄세례를 퍼부었다"고 전했다.

전부 1㎢밖에 안되는 좁은 난민촌을 겨냥해 아파치 헬기는 2백50발의 미사일을 발사했고 탱크는 포탄을 셀 수 없을 만큼 퍼부었다. 이날 사망자는 50명. 이스라엘의 발표는 1백50명이지만 연일 계속된 무차별 공격으로 발생한 실제 사망자 수는 알 수 없는 실정이라고 신문은 전했다.

팔레스타인 인권보호연합은 "살점이 찢어진 시체와 부상자 수백명이 여기저기 뒹굴어도 묻거나 치료해줄 엄두를 못낸다"고 말했다. 협회는 "이스라엘군이 병원문을 막고 있어 부상자를 치료할 수 없다"며 "방치된 시체때문에 전염병이 창궐할까 걱정"이라고 말했다.

현지 한 의료진은 "수돗물도 끊겨 주민들은 하수를 식수로 쓸 지경이다. 애들에게도 하수를 가라앉힌 물에 우유가루를 타주는 실정"이라고 개탄했다. 주민들은 "이스라엘군이 탱크 진입로를 만들어야 한다며 주택 수십채를 불도저로 갈아 엎었다. 잠깐 사전 경고한 뒤 무지막지하게 몰아붙여 집에 남아 있다가 생매장된 사람도 있다"고 눈물을 흘렸다.

◇"우리도 당했다"=이스라엘은 예닌은 테러조직 파타와 지하드 등 과격세력의 핵심 인물들이 은신한 곳이어서 공격이 불가피했으며, 민간인과 무장 민병대원을 가려 공격한 만큼 정당한 작전을 펼친 것이라는 입장이다.

이스라엘 외무부는 9일 "페레스장관의 발언은 팔레스타인측이 예닌작전을 학살로 몰고 갈 우려가 있다고 한 것"이라고 주장했다. 또 지난 9일 몰사한 이스라엘군 14명을 비롯, 예닌 전투에서 모두 22명이 사망했으며 이는 그 전까지 발생한 이스라엘군 전사자의 두배에 달하는 만큼 팔레스타인만 피해를 본 것은 아니라는 것이다. 이스라엘은 10일 예닌의 지하드 본부를 점령했다.

◇예닌은 어떤 곳=1948년 이스라엘 국가수립으로 쫓겨난 팔레스타인인들이 세운 난민촌 27곳 중 한 곳으로 이스라엘 북동부에 있다.1만4천여 난민이 1㎢의 좁은 땅 안에서 판자촌을 만들어 살고 있다.

이들은 하이파 등 인근 이스라엘 도시에 점원·인부 등으로 일하며 생계를 잇고 있다. 이스라엘에 대한 주민들의 적개심이 대단히 높고 과격 무장조직들의 거점으로 알려져 이스라엘군도 겁을 내는 곳이다.

강찬호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