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광우병 문제도, 노자와 장자에 해답 있더라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27면

성균관대 신문방송학과 김정탁(56·사진) 교수가 동아시아 전통의 노장(老莊·노자와 장자) 사상을 현대 커뮤니케이션(의사소통) 이론으로 재해석했다. 최근 출간한 『현(玄), 노장의 커뮤니케이션』(커뮤니케이션북스 출판사)을 통해서다. 흔히 ‘도(道)’ ‘무위자연(無爲自然)’로 요약되는 노장사상을 우리 사회의 난제 중 하나로 꼽혀온 각종 소통부재를 풀어내는 키워드로 삼았다는 점에서 제법 신선하다.

저널리즘과 커뮤니케이션학을 공부한 저자의 눈에 노자와 장자가 동양적 의사소통 이론의 전형으로 포착됐다. 그가 볼 때 진정한 의사소통은 언어와 문자를 넘어선다. 노자는 일찍이 그 세계를 ‘현(玄)’으로 표현했다. 저자는 노장 사상에서 서양식 소통 이론의 한계를 극복할 실마리를 찾고 있다.

“서양 커뮤니케이션은 ‘brain-to-brain’, 즉 머리와 머리 사이의 소통에 머무는 경향이 강합니다. 다시 말해 나의 생각을 타인의 머리에 이해시키기는 것을 중요하게 여깁니다. 노장의 커뮤니케이션은 다릅니다. ‘heart-to-heart’, 즉 마음과 마음의 소통을 중시합니다. 서양의 커뮤니케이션이 옳고 그름, 선과 악을 구분하는 수단으로 사용되는 반면, 동양의 커뮤니케이션은 말하는 이의 인격 전체를 전달하려고 합니다.”

그에 따르면, 서양의 의사소통 이론은 인간의 눈·귀 같은 감각기관과 언어·문자에 절대적으로 의존한다. 하지만 보고 듣고 느낀 것을 말과 글로 표현하는 것이 커뮤니케이션의 전부가 아니라는 생각을 언제부턴가 하게 되었다고 한다. 10여 년 전부터 노자와 장자를 정독하면서 그 같은 회의는 깊어갔고, 언어의 한계를 줄기차게 지적하는 노장 철학에서 새로운 희망을 발견하게 되었다고 한다.

김 교수는 이명박 정부의 소통 방식에도 이를 적용할 수 있다고 했다. “광우병을 봅시다. 과학 지식을 총동원해서 광우병의 안전을 설명할 수 있지요. 그것은 서양식 커뮤니케이션입니다. 동양식 의사소통 방식은 마음을 편안하게 하는 ‘안심’을 중시합니다. 제 생각엔 ‘안전’에 대한 과학적 지식보다 ‘안심’이 더 포괄적이고 우선적입니다.”

‘현’은 세상 만물이 서로 관계 속에 존재함을 가리키는 표현이기도 하다. ‘현’의 소통방식은 이것과 저것을 절대적으로 구분하지 않는 것이다. 노자에는 “오색(五色)을 밝히는 사람은 눈이 멀고, 오음(五音)을 밝히는 사람은 귀가 멀고, 오미(五味)를 밝히는 사람은 입이 마비된다”는 표현이 나온다. 장자에는 “귀로 듣지 말고 마음으로 들어라. 마음으로 듣지 말고 기(氣)로 들어라”는 구절이 나온다. 인간의 오감과 인식의 한계를 지적하고 마음과 온몸으로 소통하라는 의미로 풀이된다. 불통(不通)이 최대의 사회 문제가 된 오늘날 귀담아 들을만한 지적이다.

김 교수는 불교사상과 소통이론의 관계도 천착할 예정이다. 우리 학계의 과제 중 하나로 꼽히는 서양이론의 일방적 수입에 대한 반성과 대안 찾기인 셈이다.

배영대 기자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