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DVERTISEMENT

리더십 공백 한나라 … ‘3대 난제’ 누가 어떻게 풀까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4면

여권 내부가 혼돈 상태다.

정정길 대통령실장이 사의를 표명한 데 이어 정운찬 총리까지 사의를 표명함에 따라 6·2 지방선거 후폭풍이 여권 내부를 강타하고 있다. 이명박 대통령은 수습책에 대해 아직 침묵하고 있다. 하지만 여권 내 인적쇄신의 흐름은 시기가 문제일뿐 기정사실화하는 분위기다.

특히 한나라당은 지도부 공백상태다. 정몽준 대표와 최고위원단이 사퇴한 이후 7일부터 김무성 원내대표를 위원장으로 하는 7인 비상대책위를 가동하기로 했을 뿐 수습책의 윤곽은 안갯속이다.

한나라당 김무성 원내대표가 4일 여의도 국회 한나라당 원내대표실에서 열린 긴급비상대책회에 앞서 보좌진을 부르고 있다. 이 회의에는 3선 이상 중진의원들이 참석해 지방선거 패배에 따른 비상대책을 논의했다. [연합뉴스]

이 대통령과 가까운 인사로 분류되는 한나라당의 한 의원은 4일 “아직 벙벙한 상태”라며 “더 논의해야 가닥이 잡힐 것 같다”고 말했다.

핵심 당직자도 이날 “앞으로 한 달여간 리더십 혼란기가 이어질 것”이라며 “이 기간 동안 난제를 잘 풀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러나 고질적인 친이-친박 간 갈등이 재연될 조짐이어서 자칫 혼란상이 오래갈 수 있다는 우려도 있다.

①4대 강과 세종시=세종시 문제와 달리 4대강 문제를 두곤 당내 갈등이 심하지 않았다. 박 전 대표도 “(내가 반대하는) 대운하는 아니라고 하니 지켜보자”는 정도였다. 그러나 최근 친박계를 중심으로 4대 강 사업 중단론이 제기된다. 친박계에 가까운 이한구 의원은 “국민이 반대하는 세종시 수정안과 4대 강 사업을 무조건 밀어붙이는 건 문제”라고 말했다. 친박계인 구상찬 의원도 마찬가지다.

이에 대해 정두언 의원은 “이미 상당 부분 추진돼 있고 이제 잘 마무리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맞섰다. 청와대도 같은 기류다. 다만 주류 일각에서도 “사업의 속도를 늦추는 것도 방법”이란 목소리가 있다. 세종시 문제를 두곤 주류에서도 “어려워진 게 아니냐”고 말한다.

②비대위 가동은 언제까지=한나라당에선 당 대표 없이 비대위를 꾸린 경험이 없다. 2007년 강재섭 당시 대표가 “비상대책위 구성은 열린우리당처럼 막가는 정당이나 하는 일”이라고 말한 적도 있다. 당 내에선 그래서 “6월 말에서 7월 초 사이 전당대회가 예정된 만큼 그때까지만 비대위 체제로 가자”는 견해가 우세하다. 되도록 짧게 가자는 거다. 김 원내대표도 그런 쪽이다. 반면 친이계 핵심인 정두언 의원은 “새 지도부가 7·28 재·보선을 준비하기엔 무리”라며 전대 연기론을 펴고 있다. 하지만 박근혜 전 대표 진영은 전대 연기론에 부정적이다.

③당의 간판(대표)은 언제=지방선거 전까지 전대 구도는 대체로 “주류가 국정 전반을 책임져야 한다”와 “이명박 정부의 성공을 위해선 당 화합이 중요하다”로 갈렸다. 정몽준 대표와 안상수 전 원내대표가 전자, 홍준표 전 원내대표가 후자 쪽 주자였다.

그러나 선거 패배로 구도가 달라졌다. 정 대표는 출마 자체를 고심해야 할 처지다. 지방선거 때 역할을 한 남경필·정두언 의원 등도 운신이 어렵다. 당내에선 “새 인물이 필요하다”고 하지만 대안이 마땅찮다. 김태호 경남지사 정도가 거론되는 정도다. “박근혜 전 대표가 나서야 한다”는 얘기도 있으나 소수다.

고정애 기자

지방선거서 진 역대 여권 대처법

김영삼 정부

■ 임기 3년차인 1995년 6·27 지방선거에서 15곳 가운데 민자당 5곳에서만 승리

■ 7월 1일 부동산실명제 실시, 선거사범 엄단→5·18특별법 제정, 전두환·노태우 전 대통령 구속→여당에 새 인물 대거 영입

노무현 정부

■ 임기 3년차인 2006년 5·31 지방선거에서 열린우리당 한 곳, 한나라당 12곳 승리

■ 7월 3일 개각했으나 김병준 교육부총리 낙마→12월 “임기를 못 마친 첫 대통령이 안 됐으면 좋겠다”

■ 열린우리당에선 정동영 의장 체제 무너지고 김근태 의장 체제 출발. 당내 친노·반노·비노 갈등 악화하면서 탈당 사태 발생

ADVERTISEMENT
ADVERTIS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