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김정일 방중 ‘한·중 갈등설’ 부인

중앙일보

입력

업데이트

지면보기

종합 08면

중국 외교부가 11일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의 방중(3∼7일)을 전후해 제기된 한국 정부와의 외교 갈등설을 공식 부인했다.

외교부 장위(姜瑜)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김 위원장의 방중을 사전에 알리지 않은 데 대해 중국 측에 한국 정부가 항의했다’는 보도에 대한 논평을 요구받고 “양국 모두 그런 일이 발생하지 않았음을 명확히 했다”고 밝혔다.

장 대변인은 “양국은 대화와 소통 채널을 열어두고 있으며 수시로 공동의 관심사에 대해 의견을 교환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앞서 3일 외교통상부 신각수 1차관은 장신썬(張鑫森) 주한 중국대사를 외교부 청사로 불러 김 위원장의 방중을 사전에 알려주지 않은 데 대해 유감을 표시한 것으로 알려졌었다. 4월 30일 상하이(上海)에서 이명박 대통령과 후진타오(胡錦濤) 중국 국가주석이 정상회담을 했는데도 사흘 뒤 있을 김 위원장의 방중에 대해 언급하지 않은 데 대한 불만의 표시로 해석됐다. 그 다음 날 현인택 통일부 장관도 취임인사차 방문한 장 대사에게 “한반도 문제와 관련해 중국의 책임 있는 역할을 기대한다”고 공개적으로 밝혔다.

이런 상황에서 장위 대변인이 6일 “어떤 국가 지도자의 방문을 받아들이는 것은 중국의 내부 문제이며 주권의 범위 안에 있다”고 반응하면서 양국의 갈등설은 기정 사실로 굳어지는 듯했다. 한국 외교부와 통일부의 불만 표시를 중국이 공개 반박한 것으로 해석됐기 때문이다.

이처럼 사태가 악화될 조짐을 보이자 양국은 서둘러 갈등설 진화에 나섰다. 김성환 대통령 외교안보수석은 6일 장 대사를 만나 “외교부가 장 대사를 초치한 것을 놓고 한국 언론들이 정부가 중국에 항의했다고 해석했으나 이는 정부의 뜻과 다르다”고 해명한 것으로 전해졌다.

베이징=장세정 특파원

ADVERTISEMENT
ADVERTISEMENT